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디지털자산 산업은 차세대 성장 엔진"이라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발전을 촉구했다.
오 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디지털자산 정책 콘퍼런스(디콘) 2025'에서 "대한민국 산업 발전사는 성장엔진 세대교체의 역사"라며 "디지털자산은 이러한 변화를 이끄는 주인공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스테이블코인이 불러온 지급·결제 혁신을 비롯한 디지털자산 혁명은 금융의 작동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전통적인 금융 허브들은 이제 '디지털자산 허브로의 도약'을 국가적 어젠다로 천명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이제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 가기 위해 디지털자산 산업을 어떻게 활용할지 깊이 고민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산업 전환은 국가와 민간의 힘을 합쳐야 성공할 수 있다”며 “이번 세미나가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과 경영 전략 마련에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나무는 디지털자산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지난 2023년부터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여야 정치인과 디지털자산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세션은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 △K-신드롬, 디지털자산에도 일어나려면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 등 3개 주제로 구성됐다.
먼저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 세션에는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가나다순)이 자리한다. 이들은 이번(제22대) 국회에 입성한 정치인들로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 정책과 미래 방향에 대한 진솔한 대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은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류혁선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교수가 문화 콘텐츠로 촉발된 ‘K-신드롬’ 바통을 ‘K-디지털자산’이 어떻게 이어받을 수 있을지 그 과제와 방안에 대해 발제한다. 토론에는 박혜진 서강대학교 교수, 천창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한서희 법무법인 바른 파트너 변호사가 참석한다.
디지털자산이 미래 금융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현상과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도 마련된다. 토론 발제는 박정호 명지대학교 교수가 맡으며,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 김효봉 법무법인 태평양 파트너 변호사,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무대에 오른다. 모든 세션에는 고란 알고란 대표가 모더레이터로 참여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parkmj@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