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의 한복판이었던 1998년 7월 31일, 배찬병 당시 상업은행장과 이관우 한일은행장이 두 은행의 합병을 발표했다. 같은 해 6월 옛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 판정을 받고 경영 정상화 계획을 제출해야 했는데 은행을 합쳐 경쟁력을 높이고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렇게 두 은행은 1999년 통합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통합해 출범한 우리은행이 26년 만에 퇴직 직원 동우회를 하나로 합쳤다. 은행은 1999년에 한 몸이 됐지만 퇴직 직원 동우회는 지금까지 따로 운영돼왔다.
우리금융그룹은 3일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퇴직 직원 동우회가 ‘우리은행 동우회’로 통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동우회는 퇴직 직원 간 친목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율적 모임이다. 동우회는 1970년대에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에서 각각 설립됐고 1999년 합병 이후에는 ‘효자동 동우회(상업은행)’와 ‘을지로 동우회(한일은행)’로 운영돼왔다. 상업은행 동우회는 약 2900명, 한일은행은 3300여 명 정도 된다.
우리은행의 동우회 통합은 의미가 크다는 게 금융권의 시각이다. 그동안 우리은행은 출신 은행별로 계파 갈등이 적지 않았고 인사에 불만을 가진 이들이 정치권에 줄을 대는 사례가 많았다. 이 때문에 내부 조직 문화가 흐트러지고 채용 비리와 부당 대출의 원인이 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 때문에 우리금융은 올 초 동우회 통합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약 10개월간 후속 작업을 지속했고 이번에 결실을 거두게 됐다.
동우회 통합에는 관료 출신인 임종룡 회장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내년 3월 임기가 종료되는 임 회장은 두 은행의 동우회를 하나로 합침으로써 우리은행이 명실상부 ‘하나의 은행’으로 거듭나는 데 일조했다. 임 회장은 “동우회 통합은 종합금융그룹으로 재도약하는 데 있어 화학적 결합을 완성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zero@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