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3.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긴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선박 등의 수출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면서다. 다만 미국·중국 등 양대 시장에서의 수출 실적은 감소했다.
2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10월 수출액은 595억 7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으로 우리나라 수출액은 6월부터 5개월 연속 플러스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 일평균 수출액은 29억 8000만 달러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품목별로 보면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반도체·선박·석유제품·컴퓨터 등 4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액은 157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5.4% 늘었다. 역대 10월 중 최대 실적으로 반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고 있다. 고용량·고부가 메모리에 대한 강한 수요가 메모리 고정 가격 상승으로 나타난 결과다.
컴퓨터 수출도 1.7% 증가하면서 3개월간의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플러스 전환했다. 선박 수출액은 46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31.2%나 급증했다. 석유제품 수출은 같은 기간 12.7% 늘었다.
다만 미국발 품목관세의 영향을 크게 받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각각 10.5%, 18.9%나 감소했다. 미국이 50%에 달하는 관세를 매기고 있는 철강 수출액 감소율은 21.5%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수출 지역 중 중남미, 독립국가연합(CIS)을 제외한 7개 지역 내 실적이 모두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지난해 10월보다 16.2% 축소된 87억 1000만 달러, 대중 수출은 5.1% 줄어든 115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9대 지역 중 미국이 유일하게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는데 그만큼 관세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달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5% 줄어든 535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28억 9000만 달러 증가한 60억 60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한미 양국의 협의로 자동차·반도체 등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관세를 적용받게 됐다”며 “관세 인하 대상과 시기가 구체화되면서 그간 우리 수출에 제약 요소로 작용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o@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