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투자자보다 거래 빈도가 낮은 여성 투자자들이 올해 들어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NH투자증권(005940)이 공개한 ‘국내·해외 주식 투자자 손익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 27일까지 개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 평균 수익률은 35.48%, 해외 주식은 18.84%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투자 성적이 뚜렷하게 앞섰다. 국내 주식에서 여성의 평균 수익률은 38.75%, 남성은 31.87%였다. 해외 주식에서도 여성이 18.96%, 남성은 18.48%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수익률 차이를 가른 건 회전율이었다. 남성 투자자의 회전율은 114.8%로 10개월 동안 보유 종목을 한 바퀴 이상 바꿔치운 셈이다. 반면 여성은 48.4%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덜 사고 덜 판 쪽이 오히려 더 많은 수익을 챙긴 것이다.
남성 투자자가 가장 큰 수익을 낸 종목은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해외에서는 테슬라였다. 여성 투자자들은 국내 삼성전자, 해외 엔비디아를 통해 가장 많은 수익을 올렸다.
특히 눈에 띄는 건 19세 미만 투자자다. 이들의 국내 주식 수익률은 44.71%로 전 연령대 중 1위를 기록했다. 회전율은 26.3%에 불과해 사실상 매도 없이 버틴 수준이다. 50대의 회전율이 96.5%였던 점을 고려하면 4분의 1 수준임에도 수익률은 10%포인트(p) 이상 높았다.
10대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국내 종목은 ‘TIGER 미국 S&P500’ 상장지수펀드(ETF)였고, 해외에서는 테슬라였다. 단기 매매보다 미국 주식 중심의 장기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자산 규모별로 보면 회전율이 낮을수록 수익률이 높다는 공식은 완전히 들어맞지 않았다. 국내 주식에서 10억 원 이상 고액자산가의 평균 수익률은 33.57%, 1억~5억 원 투자자는 39.38%로 오히려 더 높았다. 해외 주식에서도 고액자산가(19.62%)보다 1억~5억 원 투자자(22.13%)가 좋은 성과를 냈다.
다만 자산이 많을수록 회전율은 낮았다. 국내 주식 기준으로 고액자산가의 회전율은 65.66%였지만 1억~5억 원 투자자는 118.46%로 두 배 가까이 높았다. 500만~2000만 원 미만 구간을 제외하면 자산이 클수록 회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hilin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