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적자에 시달려 온 면세업계가 비용 절감 노력과 방한 외국인 증가세에 힘입어 실적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라면세점 철수로 공석이 된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구역에 대한 다음 달 신규 입찰이 업계의 개선 기대감 속에서 흥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면세업계의 3분기 실적 전망은 길었던 부진에서 벗어나 희망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2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현대백화점(069960) 면세점 부문은 올 3분기 약 30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3분기 이후 계속된 영업손실에서 8개 분기 만에 턴어라운드 하는 것이다. 지난 8월 동대문점을 폐점하며 고정비 부담을 줄인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호텔신라(008770)와 신세계(004170)디에프(신세계면세점) 또한 3분기 영업손실이 각각 20억 원 수준으로 예측돼, 전년 동기 수백억 원대 적자에서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희망퇴직 단행 등 비용 효율화와 시내 면세점 간 과열 경쟁 완화가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비상장사인 호텔롯데(롯데면세점)의 경우, 올해 초 수익성 악화 요인으로 지목됐던 중국 보따리상(다이궁)과의 거래를 중단한 결정이 긍정적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면세업계 실적 회복의 또 다른 동력은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이다. 한국관광공사 집계 결과,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한국을 찾은 외국인은 1238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했다. 특히 K팝,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의 세계적 인기는 방한 수요를 지속해서 견인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시행한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 정책은 구매력 높은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복귀를 앞당겨, 4분기 면세업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관련기사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K컬처 열풍이 한국 방문 의향을 높이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면세업계의 완전한 회복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국 인바운드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여부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소폭이나마 감지되는 면세업계의 실적 개선 분위기가 다음 달 인천공항 면세점 신규 입찰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주목할 부분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신라면세점이 운영을 중단한 DF1(향수·화장품·주류) 구역에 대해 이르면 다음 달 신규 사업자 선정 공고를 낼 방침이다.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는 공항 임대료 부담 속에서, 최근의 실적 개선 조짐이 업계의 투자 의지를 얼마나 되살릴 수 있을지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DF1 입찰을 둘러싼 변수는 여럿 존재한다. 앞서 신라면세점과 함께 공항 측에 임대료 조정을 요구했던 신세계면세점의 향후 행보가 아직 불투명하다. 업계에서는 신세계그룹 차원에서 공항 면세사업의 수익성을 면밀히 재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런 구도 속에서 현재 인천공항에 사업장이 없는 롯데면세점이 '공항 재입성'이라는 상징성을 위해 입찰에 나설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사업 확장을 꾀하는 현대백화점면세점 역시 다크호스로 분류된다. 중국 국영 CDFG의 참여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입찰을 주관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입장 또한 중요한 변수다. 공사가 입찰 흥행을 위해 과거보다 합리적인 임대료 조건을 제시하고, 사업권을 반납한 신라면세점에 대한 입찰 참여 제한 등 페널티를 적용하지 않는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신라로서도 완화된 조건으로 공항 핵심 구역 운영권을 다시 확보하는 것이 유리한 선택일 수 있다. 결국 공사가 내놓을 입찰 조건과 신라의 재도전 여부 등이 이번 입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loud@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