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사상 처음 4000선을 넘어섰지만, 시장에 온기는 제한적으로 퍼지는 모습이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등 반도체 대형주가 지수를 끌어올리는 동안, 다수 종목은 되레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 사이에 ‘빈익빈 랠리’라는 자조가 번지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4일 종가 기준으로, 6월 20일 이후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1537개로 같은 기간 상승한 종목(1104개)을 웃돌았다.
코스피가 3년 6개월 만에 3000선을 회복한 6월 20일부터 불과 4개월 만에 4000선까지 치솟았지만, 실제 체감 수익률은 그만큼 뜨겁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이 기간 코스피는 약 30% 상승했으나, 85거래일 중 52거래일에서 하락 종목이 상승 종목보다 많았다. 특히 지난 17일에는 하락 종목이 1908개로 상승 종목(526개)의 3배를 넘어서며 지수와 체감 장세의 괴리가 극명하게 드러나기도 했다.
시장의 온기는 반도체에 극심하게 쏠려있다. 메모리 업황 회복 기대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 자금이 집중되면서, 나머지 업종에는 상승의 온기가 퍼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업종별로는 인터넷·엔터테인먼트 업종의 낙폭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카카오(035720)·에스엠(041510) 등으로 구성된 KRX K콘텐츠지수는 코스피 3000선 돌파 이후 4개월 사이 7% 하락하며 주요 업종 가운데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중국 걸그룹 케플러의 팬 콘서트가 돌연 연기되며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식은 것도 엔터주 약세의 원인으로 꼽힌다.
건설주 역시 부진을 면치 못했다. KRX 건설지수는 같은 기간 6% 하락했으며, GS건설(006360)(-12.9%), 현대건설(000720)(-11.6%)이 두 자릿수 낙폭을 보였다. 아시아나항공(020560)(-8.2%), 진에어(272450)(-20.2%) 등 항공주 약세로 KRX 운송지수도 1.7% 떨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ive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