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부터 의원·약국에서도 전산으로 보험금 청구를 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23일 금융감독원·보험개발원 및 생명·손해보험협회 등과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시행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청구 전산화 1단계를 도입했는데, 오는 25일부터는 일반 의원·약국에 2단계로 이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실손24 애플리케이션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원격으로 실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현재 전체 요양기관 중 10.4%(1만 920곳)이 전산 연계를 마쳤다. 병원급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54.8%(4290곳), 의원·약국의 6.9%(6630곳)가 연계를 완료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실손전산시스템운영위원회 회의 이후 대한약사회와 대한한의사협회 등의 의약단체가 실손24 참여 의사를 밝혀 연계 의원·약국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청구 전산화 서비스를 이용하면 종이 서류 발급 없이도 보험사에 계산서·영수증과 진료비 세부신청내역서 및 처방서를 원격으로 제출할 수 있다. 금융 당국은 이르면 오는 11월부터 네이버·토스를 비롯한 플랫폼 앱을 통해 실손24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 경우 실손24 앱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네이버·토스 플랫폼에서 가입 보험사 조회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모두 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실손24에 참여하는 요양기관에 신용보증기금 보증료를 5년간 0.2%포인트 감면해주고 배상책임보험을 비롯한 보험료를 3~5% 인하해줄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의 종합병원 의료 질 평가에서도 요양기관의 청구 전산화 연계 여부를 반영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