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한국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소버린AI 구축 역량 확보와 함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오픈AI는 2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정부에 대한 AI 정책 제안 보고서인 '오픈AI 경제 청사진'을 공개했다. 오픈AI를 대표해 참석한 크리스 리헤인(사진)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CGAO) "한국이 글로벌 AI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선 소버린 AI를 구축하는 역량을 갖추는 것과 함께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프런티어 AI 개발사들과의 전략적 협력에도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헤인 CGAO는 전 세계 정책 및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총괄하는 인물이다. 오픈AI 합류 전에는 미국 행정부와 에어비앤비, 하운벤처스 등을 거쳤다. 또 현재 미국 블록체인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이사회 구성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오픈AI는 한국의 AI 산업 생태계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돕겠다는 방침이다. 또 글로벌 시장에서 AI를 확산하는 데 한국이 중요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리헤인 CAGO는 "한국은 훌륭한 AI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고, '3대 AI 강국 도약'이라는 한국 정부의 명확한 의지가 있는 만큼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다"면서 "AI를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점에서 오픈AI와 한국이 추구하는 가치가 같은 만큼 훌륭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과의 협력 시작이자 대표적인 예로 이달 1일 발표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삼성전자(005930), SK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들었다. 당시 오픈AI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000660)와 각각 디램(DRAM) 웨이퍼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과기정통부와 함께 국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합의한 바 있다.
오픈AI는 한국의 챗GPT 사용자 수도 공개했다. 한국 내 챗GPT 사용자 수는 170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인구 당 사용자 수는 한국이 전세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개발자들의 사용률은 전 세계 10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3년 간 AI가 변화시킬 미래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리헤인 CAGO는 "올해는 코딩과 구매, 여행 등에 도움을 주는 에이전틱AI의 해였다면 2026년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해 과학과 헬스케어 분야에 큰 변화를 주는 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7년은 로봇 AI 시대가 본격화할 예정인데, 이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