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직전 직장인과 개인사업자들의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 통장) 약정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를 앞두고 부족한 주택 구매 자금을 미리 확보하려는 수요가 몰린 것이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 2곳의 마이너스 통장 신규 약정액은 이달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911억 원으로 개별 은행별로 하루 평균 152억 원 늘어났다. A은행과 B은행의 마이너스 통장 신규 약정액은 지난달 일평균 104억 원 증가했는데 규제 시행 직전에 45.6%나 급증했다. 이들 은행의 지난달 일일 신규 약정액은 최저 82억 원에서 최고 123억 원 수준이었다. 약정액이 눈에 띄게 늘어난 셈이다.
금융 당국은 15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주택 가격에 따라 최대 4억 원 줄이고 1억 원 초과 신용대출 보유자에 대한 주택 구매를 제한한다고 밝혔다. 규제 시행일은 16일부터였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 대출 규제에 대한 소식이 알음알음 퍼지면서 미리 마이너스 통장을 연 이들이 적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로 SNS에는 “대출이 더 막히기 전에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받아놓아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 다수 공유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은 ‘6·27 대책’ 때도 있었다. 6월 27일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마이너스 통장 약정액 증가 폭은 795억 원으로 전날(49억 원)의 약 16배에 달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미리 약정만 해두면 이후 규제를 적용받지 않을 것이라고 본 사람들을 중심으로 선약정 수요가 늘어났다”면서 “추가 대출 규제로 주담대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한도가 더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책 발표 전에 규제 소식이 퍼지면서 일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대출을 더 받으려는 이들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 예상과 달리 정부가 신용대출 한도를 추가 삭감하는 대신 거래 제한 기한을 두는 일종의 페널티를 매기기로 하면서 구매 자금을 마이너스 통장 대출로 메우려던 사람들은 피해를 보게 됐다. 규제가 대출 잔액이 아닌 대출 설정액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도 이들에게는 뼈아픈 대목이다. 마이너스 통장 한도가 1억 원이 넘으면 실제 사용액이 없어도 주택 구입이 막히기 때문이다. 규제 시행일 전에 통장을 개설했더라도 개설 시점부터 1년간은 주택을 구입할 수 없다.
문제는 실수요자들이다. 정부의 계속된 금융 규제에 급전을 구할 창구가 막히고 있기 때문이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카드사 9곳(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카드론 잔액이 지난달 말 현재 41조 8375억 원으로 한 달 새 6109억 원 감소했다. 카드론 잔액은 올 5월 이후 넉 달째 감소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9월(41조 6870억 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정부의 대출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상품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 수 있다는 전망이 새어 나온다.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예금담보대출 잔액은 14일 기준 6조 1352억 원으로 전월 말 대비 291억 원 증가했다. 이달 들어 추석 연휴를 제외하고 영업일이 5일에 불과했는데 지난달 전체 증가 폭(673억 원)의 43%만큼 늘었다. 예담대는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부동산 가격 급등은 막아야 하지만 실수요자들의 대출 수요라는 게 계속 있는 것”이라며 “금융만 옥죄다 보면 현금과 자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서민과 중산층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