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그룹의 제조부문 계열사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은 리튬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이어 최근 납축전지를 활용한 장주기 대용량 ESS 기술력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납축전지는 주로 내연기관용 자동차 배터리로 쓰이는 2차전지다. 납축전지를 적용한 ESS는 안전성과 경제성이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쉽고 수명이 길어 장주기 운영에 적합하다. 특히 납축전지는 화재 발생 시 이른바 ‘열 폭주’가 약하고 진화가 용이해 최근 다시 주목 받고 있다.
반면 리튬이온배터리 기반 ESS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소형화, 경량화에 강점이 있지만 화재 발생과 확산 위험성이 크고 원자재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이번에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이 확보한 기술은 납축전지 전극에 활성탄을 도포해 술폰화납(전극 표면에 쌓이는 황산납 결정) 생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크게 늘린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에 약 7년이던 ESS 배터리의 수명이 10년 안팎까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고가인 수입 활성탄 대신 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김융암 교수팀의 표면개질(고결정성 활성탄소 소재 합성)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매스 활성탄으로 경제성도 갖췄다.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은 이미 안정적인 양산라인을 구축해 방산용 리튬 전지를 생산∙납품하고 있다. 이 같은 2차전지 기술력과 노하우로 신규 사업군인 ESS 분야에서도 새로운 ‘배터리 커패시터(탄소 첨가 전극 납축전지)’ 기술 등을 앞세워 시장 경쟁력을 높여 나갈 방침이다.
오정석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 기술연구소장은 “4년여에 걸친 업무과제 수행으로 확보한 납축전지 배터리 커패시터 기술과 기존 리튬이온 기술을 양 축으로 ESS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겠다”며 “특히 무정전전원장치(UPS)와 ESS의 화재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갖춘 기술력으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고 말했다.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 최세환 대표이사도 “납축전지와 리튬이온 기반의 ESS 기술력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새롭고 다양한 ESS 솔루션을 꾸준히 개발하고 선보여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