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국내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투자 상품에 대해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국내 금 가격이 치솟고 있지만 국제 시세 대비 고평가된 만큼 하락 가능성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은 17일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13% 이상 높다”며 “국내 금 가격은 결국 국제가격에 수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해외 대비 10% 넘게 고평가된 국내 금 가격의 하락 가능성을 경고한 것이다.
16일 기준 국내 금 현물 가격은 1g당 21만 8000원으로, 국제가격(19만 3000원) 대비 13.2% 높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 인하 재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국내 금 가격은 연일 신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하지만 금융 당국은 일물일가 법칙에 따라 국내 금 가격이 결국 국제 시세에 수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외 금 가격 괴리율이 10%를 초과하는 상황은 지난 5년간 단 2번뿐이었다. 올 2월에도 국내 금 가격이 국제 시세 대비 22.6%까지 높아졌지만 이후 18영업일 동안 내리 떨어지면서 국제가격과 눈높이를 맞췄다.
국내외 금 가격은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 상품 투자 전 기초자산이 국내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