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전공의 복귀 방해 논란이 불거진 의료 플랫폼 ‘메디스태프’ 투자 논란과 관련해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고 사과했다.
오 대표는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상급종합병원의 암 수술이 17% 감소했고 장기이식 건수도 급감했다”며 “지난해 2월부터 7월까지 초과 사망자가 3100여 명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이어 “병원으로 복귀하려던 전공의와 학생들을 막은 주요 통로가 바로 메디스태프였다”며 “게시판에는 ‘복귀하면 성폭행하겠다’, ‘죄는 자식이 지었는데 벌은 부모가 받았다’ 같은 악성 글이 버젓이 올라왔다”고 질타했다.
그는 “메디스태프 운영진은 작성자 추적이 어렵게 보안을 강화해 비방을 방조했다”며 “이 플랫폼에 43억 원을 투자한 두나무가 윤리경영을 내세우는 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했느냐”고 추궁했다.
이에 오 대표는 “국내 의료 플랫폼의 성장을 위해 투자를 결정했지만, 결과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답했다. 한 의원은 “검찰에 송치된 운영진이 있는 플랫폼에 대한 투자가 사회적 책임경영으로 볼 수 있느냐”며 “돈을 위해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뜻으로 읽힌다”고 비판했다. 이어 오는 30일 종합감사 전까지 메디스태프 투자 적절성 평가 결과 및 향후 조치 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오 대표는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도 “메디스태프의 운영 방식이 전공의 복귀에 악영향을 줬다고 본다”며 “SNS를 통한 비방이나 의료행위 방해 행위를 막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 의원실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