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이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는 엄정대응 하고, 개인의 정보 권리는 보장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송 위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모두발언에서 “개인정보 유출·침해사고에 대해서는 엄정한 조사와 처분으로 개인정보처리자의 책임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개인정보보호 분야 인력과 예산의 최소 기준을 명확히 해 개인정보 보호가 비용이 아닌 전략적 투자이자 기본적 책무라는 인식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지난 10일 신임 개인정보위 위원장으로 취임해 이날 임기 첫 국정 감사를 받았다. 그는 “개인정보 침해사고로 인한 국민 피해의 확산을 방지하고, 유출 사고 피해 구제를 위한 대책도 조속히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대응해 국민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강화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했으며, 국민 생활과 밀접한 10대 분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폐쇄회로(CC)TV 등 영상정보처리기기의 활용 확산에 따라 영상정보의 안전성과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를 위한 법률 제정도 추진하고 있다”며 “딥페이크와 같은 불법적인 개인정보 합성·변조 등 새로운 프라이버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 주체의 권리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신산업 혁신을 지원하겠다는 방침도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인공지능(AI) 기술 개발과 성능 개선이 시급한 분야에서 충분한 안전장치를 전제로 개인정보가 포함된 원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가명정보 제도가 현장에서 잘 작동할 수 있도록 가명처리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가명처리 절차를 간소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올해로 출범 5주년을 맞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대규모 유출이 발생한 SK텔레콤(SKT)에 1347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 출범 이후 총 1256건을 조사해 처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