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하면서 지난해 70대 이상 고령 인구가 20대 인구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2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최근 20대의 취업 여건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청년 세대의 부양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국가데이터처의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24년 70대 이상 인구는 654만 3000명으로 20대 인구(630만 2000명)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저출생 고령화 현상이 수십년간 누적된 결과다. 인구가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로 총 871만 3000명이었다. 그 다음은 40대 780만 9000명이었다.
20대 인구는 수 년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데이터처에 따르면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 1000명을 기록한 이후 2024년까지 4년 만에 72만 9000명 줄었다. 연 평균 18만 2300명씩 감소한 셈이다. 10대 인구는 455만 명으로 20대 인구의 72.2%에 불과힌 상황이어서 청년 인구 하락세는 더욱 급격해질 전망이다.
반면 70대 이상 인구는 2020년(555만 4000명)에서 2024년(654만 3000명) 사이 약 100만 명 증가했다. 60대 인구는 779만 1000명으로 70대 이상 인구보다 125만 명 가까이 더 많아 이같은 증가세는 한동안 이어질 예정이다. 만 75세 이상 인구는 의료비 지출이 급증하고 대다수가 장기요양에 의존하는 후기고령층이라는 점에서 노년 부양을 위한 사회적 부담도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노년부양비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노년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인구 100명당 노년 인구(65세 이상)를 의미한다. 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해 노년부양비는 27.9명에 육박했다. 노년부양비가 처음으로 20명 선을 돌파한 2019년(20.8명) 이후 5년 만에 7.1명 더 증가한 결과다. 2010년(15.4명)에서 2019년 사이 증가폭이 5.4명에 불과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한 속도다.
문제는 인구 비중이 줄고 있는 20대의 경제적 여건마저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에 따르면 8월 기준 20대 고용률은 60.5%로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8월 61.7%를 기록한 이후 1년 내내 하락 및 보합세만 거듭하며 반등하지 못한 결과다. 같은 달 20대 실업률은 5.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8월 기준 2022년 5.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인구문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한국의 중장기 경제 체력을 시험하는 잣대가 되고 있다.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무디스(Moody's)는 지난주 발표한 ‘연례협의 보고서’에서 한국이 직면한 양대 과제 중 하나로 구조 개혁을 꼽으며 “높은 고령화 수준 속에서 성장 잠재력과 지속가능한 재정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