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20대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70대 이상 고령 인구보다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가데이터처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30만 2000명이었다. 2023년 대비 19만 3000명 줄어든 수치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 명을 기록한 이후 4년 연속 줄고 있다.
이는 70대 이상 인구(654만 3000명)보다 적은 수치였다. 20대 인구가 70대 이상보다 적은 것은 1925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돌파한 데 이어 70대 이상 인구마저 20대를 넘어서는 등 고령화 현상이 만연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약 30년 전만 해도 20대 인구가 성인 인구 중 가장 많았는데 이제는 가장 적어졌다. 데이터처에 따르면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대는 50대로 871만 3000명이었다. 40대는 780만 900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은 60대로 779만 1000명이다.
문제는 20대 인구가 줄고 있는데도 20대 취업시장에는 찬바람이 불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에 따르면 8월 기준 20대 고용률은 60.5%로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8월 61.7%를 기록한 이후 1년 내내 하락 및 보합세만 거듭하며 반등하지 못한 결과다. 같은 달 20대 실업률은 5.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8월 기준 2022년 5.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