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오전 8시~8시 50분)보다 1시간 더 빠른 ‘7시 프리마켓’ 운영을 검토한다. ATS가 출범 6개월 만에 점유율을 높이며 위협적인 존재로 부상하자 거래시간 연장을 추진 중인 거래소가 차별화된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ATS 전체 거래량 중 프리마켓 비중이 20%에 달한다는 점에서 ‘출근길 투자자’와 ‘수익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겠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4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오전 7~8시까지 운영하는 프리마켓 도입을 추진 중이며 금융 당국에 관련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거래소는 정규 시장(오전 9시~오후 3시 30분)과 시간 외 시장(오전 8~9시, 오후 3시 40분~6시)을 운영하고 있다.
거래소가 오전 7시부터 1시간 동안 프리마켓을 도입하는 방안이 확정되면 투자자들은 출근길 주식거래 창구가 이원화돼 선택권이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ATS 프리마켓 운영시간은 오전 8시~8시 50분으로 투자자는 오전 7시부터 8시 50분까지 주식거래가 가능해지는 셈이다. 해외 투자자 유입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거래시간 변경은 거래소 업무 규정 개정 사안으로 별도의 법 개정은 필요 없다. 다만 거래시간 확대는 금융위원회 승인 사항인 만큼 협의가 필요하다. 오전 7시 프리마켓이 확정되면 ATS도 1시간 앞당겨 7시 장 개시로 변경할 가능성이 높다.
이미 미국·영국 등 글로벌 주요 증시에서는 사실상 24시간 거래시간 체제가 보편화되는 추세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은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거래시간을 24시간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단, 가상자산과 달리 주말에는 장이 열리지 않는 주 5일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