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증하는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이 내년부터 발행된다. 최대 20년까지 만기를 설정할 수 있는 장기물인 만큼 캐리 트레이드(금리 차이에 따른 수익을 추구하는 거래)와 자본 차익 전략이 투자 요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매년 발행 규모가 10조 원에 달하는 만큼 신용(크레딧) 스프레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3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부터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이는 장학재단채권, 공급망안정화기금채권에 이은 새로운 정부 보증채로써 발행 주체는 한국산업은행으로 정부가 원리금을 보증하는 구조다. 발행 첫해인 내년에는 15조 원, 이후 매년 10조 원 규모가 시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해당 채권은 산업은행에 조성되는 50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위해 발행된다. 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반도체·인공지능(AI)·바이오·백신·방산·로봇·수소·이차전지·디스플레이·미래차 등 10대 첨단산업과 국가전략기술 관련 기업 및 인프라 전반을 지원하는 데 사용하겠다는 목표다.
새로운 정부 보증채의 등장을 두고 업계에서는 엇갈린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부 관련 채권의 공급 물량 확대가 불가피하게 신용 스프레드 부담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미 연간 10조 원 상당의 공급망안정화기금채권이 시장에 공급되는 가운데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이 추가된다면 투자자들의 수급 균형이 흔들릴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다만 올해 8월 기준 공급망안정화기금채권 발행 규모가 약 2조 5400억 원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 공급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이 최대 20년 만기의 장기물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상위등급의 장기채 공급이 제한적인 국내 채권시장에서 이에 대한 수요가 꾸준할 뿐만 아니라 금리 인하 사이클 국면과 맞물려 캐리 전략과 자본 차익을 노리는 투자 전략이 모두 유효하다는 판단에서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첨단전략산업기금채권은 앞으로 공급망안정화기금채권과 함께 정부 보증채 금리 및 수급을 주도할 것”이라며 “장기물로 발행할 경우 투자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