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자금이 민간과 경쟁하며 투자 중·후기(시리즈B 이후) 단계 바이오 기업의 과실을 따먹는 동안 유망한 초기 기업들은 말라 죽고 있습니다. 정책 자금이 높은 리스크를 안고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역할을 맡지 않으면 5년 뒤 우리 바이오 산업은 붕괴될 것입니다.”
김명기(사진) LSK인베스트먼트 대표는 3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요즘처럼 초기 투자가 어려울 때는 정부가 정책 자금 80% 이상을 투입해 유망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형 보건의료고등연구계획국(ARPA-H) 프로젝트’처럼 혁신적·모험적 연구개발(R&D)에 대한 정부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면서 “정부가 자금을 투입할 때는 어디에 투입해야 가치가 높아질지 깊이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국내 1세대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VC) 투자자다. 서울대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박사를 마친 뒤 LG화학기술연구원을 거친 연구자 출신으로 바이오 산업이 주목받지 못하던 20여년 전부터 바이오 투자에 뛰어들었다. 이후 2016년 바이오 특화 VC인 LSK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해 올해 일라이릴리와 1조 900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알지노믹스, 지난해 상장한 셀비온 등에 투자했다.
김 대표는 “2021년 하반기부터 바이오 투자 시장이 악화하는 동안 보건복지부는 초기 투자를 민간에 맡기고, 후기 투자 펀드만 조성했다”며 “초기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가 씨가 마르면서 올 들어 창업한 바이오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2020년 515개였던 바이오 벤처 창업은 2021년 257개, 2022년 29개로 급감했다. 이는 1992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 1993년(19개)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수치다.
김 대표는 지금처럼 바이오 벤처의 IPO에만 의존하면 산업 발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형 제약사들 간 인수합병(M&A)을 활성화 해 신약개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약가 정책을 대대적으로 개편해 해외 대비 현저하게 비싼 제네릭 가격을 내리고, 같은 약을 생산하는 제약사들 간 M&A가 일어나게 해야 한다”며 “고정비가 줄고 경영 효율화가 이뤄져 일본처럼 자금력을 갖춘 제약사들이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