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도를 넘는 역대급 유럽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탈리아 로마 콜로세움에서 관광객을 안내하던 가이드가 쓰러져 숨졌다. 현지 관광가이드협회는 "여름철 관광지 운영 시간을 조정해 달라"고 수년째 주장했지만 당국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이번 사고가 발생했다고 우려를 표했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56세의 베테랑 가이드 조반나 마리아 지암마리노는 이달 19일 폭염 속에서 심장마비로 추정되는 증세로 쓰러져 사망했다. 그날 오후 6시께 콜로세움 내부에서 관광객을 안내하던 중 그는 쓰러졌으며, 현장에 있던 관광객들과 구조대의 노력에도 끝내 숨졌다.
이탈리아 공인 관광가이드 협회(AGTA)는 성명을 통해 “지암마리노의 죽음은 가이드 업무가 신체에 얼마나 큰 부담을 주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여름철에는 콜로세움과 포럼(로만 포럼, 콜로세움 인근의 로마 신전과 광장 등이 있는 유적지), 팔라티노 언덕을 포함한 고고학 공원의 운영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GTA에 따르면 콜로세움은 3월 말부터 9월 말까지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7시 15분까지 개장한다. AGTA는 앞뒤로 1시간 이상씩 개장 시간을 늘리고, 날이 더운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는 유적지의 열기가 식은 시간인 7시부터 8시 15분까지로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로마 관광 가이드 300명을 대표하는 프란체스카 두이미크는 “여름철 로마의 더위 속에서는 탈수 증세로 (가이드는 물론) 관광객들이 자주 실신한다”며 “포럼은 그늘도 없고 바람도 없다. 오후 1시나 2시에 그곳에 있으면 누구든지 몸이 아플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단체는 유럽에 '살인 폭염'이 닥치던 3년 전부터 이를 주장해왔지만 이뤄지지 않고 있다.
AGTA는 “기후변화는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매년 ‘폭염 비상사태’를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로만 포럼에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일하는 것은 수년째 견디기 힘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