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10월 25일 시행 예정인 ‘제2단계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를 앞두고 관계기관들과 점검회의를 열었다. 2단계에서는 현재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한정됐던 청구 전산화 대상이 의원과 약국 등 동네 의료기관으로까지 확대된다.
금융위원회는 7일 금융산업국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보험개발원, 생명·손해보험협회 등과 함께 점검회의를 열고,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시스템(‘실손24’)의 요양기관 참여 현황과 2단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는 지난해 10월 25일 1단계로 병원급 의료기관 및 보건소 약 7800개를 대상으로 먼저 시행됐다. 지난 5일 기준 병원 1045개, 보건소 3564개, 의원 861개, 약국 1287개 등 총 6757개 요양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1단계 참여율은 약 59.1% 수준이다.
10월부터는 의원·약국 등 약 9만 6000개 요양기관으로 확대된다. 보험업법 개정 전임에도 일부 의원·약국은 자율적으로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참여율은 2.2%에 불과하다. 특히 일부 병원급 기관 및 의원·약국들과의 협의 과정에서 수수료 부담을 둘러싼 이견으로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청구 전산화 활성화를 위해 당국은 다양한 개선책도 도입하고 있다. 네이버지도·카카오맵 등 지도 플랫폼과 연계해 실손24 참여 병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했고, 비참여 요양기관에 대해 소비자가 직접 참여를 요청할 수 있는 기능도 신설했다.
실손24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도 높은 편이다. 소비자단체 ‘소비자와함께’가 4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산화된 실손 청구를 이용한 소비자의 89%가 기존 방식(보험사 앱·팩스 등)보다 편리하다고 응답했고, 94%는 향후에도 계속 이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87%는 진료과목이 유사하다면 청구 전산화 병원을 우선 선택하겠다고 응답했다.
금융위는 향후 청구 전산화의 전면 확산을 위해 △소비자 서비스 효용 제고 △요양기관 및 EMR(전자의무기록) 업체 참여 유도 △의료행정 연계 방안 등을 추진 방향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2단계 시행을 차질 없이 준비하고, 보건의료단체를 포함한 ‘실손전산운영위원회’를 통해 제도 활성화 방안을 지속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