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 회의가 31일 속개된다. 늦어도 다음달 8일 이전에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공고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수련 연속성’ 문제 등에서 의견 접근을 볼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모처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과 함께 수련협의체 제2차 회의를 열어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복귀 방안 등을 논의한다. 수련협의체는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에 돌아올 여건을 마련하고자 지난 25일 출범했으며 복지부와 대전협,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의학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의 구체적 요구사항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참석자들은 첫 회의에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하반기 전공의 모집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했다. 9월 하반기 수련 개시까지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세부 사항 논의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점에도 공감했다. 적어도 다음달 8일 경에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공고가 나올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다.
대전협 비대위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가지 요구사항을 공개한 바 있다. 복귀를 위한 특례성 조치는 요구하지 않았지만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해 병역 미필 전공의들의 입영연기 혹은 기존 수련병원 복귀 보장, 수련기간 단축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부는 전공의 복귀 방안을 위해 ‘국민의 눈높이’가 중요하다는 원칙적인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어떤 요구를 하는지 구체적으로 듣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