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대부분이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는 구조로 사외이사가 의장을 맡은 경우는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와 롯데그룹은 대표이사의 이사회 의장 겸직 비중이 가장 높았다.
23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 253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하고 있는 상장사는 2176개사(86%)로 집계됐다. 총수 일가가 이사회 의장을 맡은 곳은 169개사(6.7%), 사외이사인 경우는 107개사(4.2%)로 나타났다.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는 핵심 지표 중 하나로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를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아야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이 확보되고,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이 이사회 의장을 겸직할 경우엔 경영진을 감시 견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표이사의 이사회 의장 겸임 비중은 자산 규모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2조 원 이상 대형 상장사는 대표이사의 의장 겸직 비중이 53.4%에 불과하지만 자산 5000억 원 미만인 곳은 90.8%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대표이사나 총수일가가 이사회 의장을 맡은 사례가 많은 것이다.
10대 그룹 중에선 SK그룹이 사외이사의 이사회 선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K그룹은 상장 계열사 20개사 중 15개사(75%)가 이사회 의장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했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12개사와 롯데그룹 계열사 10개사는 모두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직을 맡았다. 다만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등 핵심 계열사들은 선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했다. 롯데그룹도 별도의 선임 사외이사를 두고 있다.
삼성도 상장계열사 16개사 중 9개사에서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삼성도 2023년 10월부터 이사회 독립성과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위해 선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한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