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를 한국 조선산업의 발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상선 신조(新造), 군함의 유지·보수·정비(MRO), 차세대 선박 협력 등 사업성이 확실한 분야를 선별해 한미 양국의 ‘윈윈’ 협상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 같은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2037년까지 발주하는 상선과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 선박은 최소 403척에서 최대 448척에 달한다.
실제 미국은 지난달 발의된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에 따라 미국 국적 전략 상선단을 250척으로 확충하고 2047년까지 LNG 수출의 15%를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할 계획이다. 또 미국 해군은 최근 향후 30년간 총 364척을 건조한다는 내용의 신조 계획을 밝힌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올 초 미국 해안경비대가 운용할 쇄빙선 40척을 발주하겠다는 계획을 공표했다.
미국에서 잇따른 선박 발주 계획이 발표되는 만큼 보고서는 상선과 LNG 운반선, 군함, 차세대 선박 등 분야별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LNG 운반선 현지화 대응 △중형 상선 중심의 전략 상선단 참여 △해군 함정 MRO 및 수송·상륙함 중심 협력 확대 △차세대 선박 분야 공동기금 조성 등을 조언했다.
장기 투자를 위한 정부와 미국 정부 간 사전 협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이 인수한 미국 조선소 부지와 주변 인프라 정비 방안에 대해 미측과 협의해 구체화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미국으로 숙련된 기술 인력이 이동할 경우 발생할 공백을 막기 위해 양국이 장기적인 인력 양성 방안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