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첫 연간 적자를 기록하며 위기에 놓인 엔씨소프트가 1분기에 흑자 전환하면서 반등 희망을 확인했다. 고강도 쇄신 작업을 거친 엔씨소프트는 올해 다양한 신작 출시를 통해 상승세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엔씨소프트는 14일 연결 기준으로 매출 3603억 원, 영업이익 52억 원, 당기순이익 375억 원을 각각 잠정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9% 줄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80%, 34% 감소했다. 지난해 3·4 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 빠졌다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는 점이 위안이다. 1분기 실적은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증권사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인 매출 3657억 원, 영업이익 87억 원보다 낮았다.
매출 지역별로 보면 한국 2283억 원, 아시아 561억 원, 북미·유럽 309억 원 등이다. 로열티 매출은 450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 대비 38% 증가했다. 해외·로열티 매출은 전체 매출의 37%다. 플랫폼 별로 보면 모바일 게임이 2063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PC게임 833억 원이다.
엔씨소프트는 이날 공시를 통해 2026년 매출 목표액을 최소 2조 원으로 설정했다. 주요 지표 예측치를 기준으로 리니지 등 기존 지식재산권(IP)의 지속적인 확장과 올해 출시 예정인 하반기 신작 효과 등을 반영해 산출한 수치다. 회사는 신작 성과에 따라 매출이 최대 2조 5000억 원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규모 업데이트와 서비스 지역 확장, 스핀 오프 게임 출시 등으로 기존 리니지 등 핵심 IP를 대폭 확장하고 아이온2, LLL, 브레이커스 등 신규 IP 출시로 뒤를 받친다는 계획이다.
하반기 출시를 앞둔 ‘아이온2’는 13일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BI)와 웹사이트를 공개하고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시작했다. 28일에는 첫 라이브 방송으로 게임에 대한 상세 정보를 공개한다.
또한 국내외 투자를 통해 장르별 개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글로벌 포트폴리오 확보에 집중한다. 지난해 스웨던의 ‘문 로버 게임즈’, 폴란드의 ‘버추얼 알케미’, 한국의 ‘미스틸게임즈’·‘빅게임스튜디오’에 각각 지분 및 판권 투자를 마쳤다. 지난 2일에는 북미 법인인 엔씨웨스트를 통해 미국 슈팅 게임 개발사 ‘엠티베슬’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