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글로벌 관세 부과 조치가 국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범정부 협의체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기획재정부는 1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기재부 1차관 주재로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의 90일 유예 조치 발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확실성이 커 우리 경제 전 분야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분야별 면밀한 점검과 분석을 위해 기존 대응 체계를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TF로 확대·운영하기로 했다.
TF에는 △거시경제 △금융 △산업 △중기 △정보통신기술(ICT) △바이오헬스 △농수산 △공급망 등 총 8개 분야에 걸쳐 작업반이 구성된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정책금융기관), 산업통상자원부(산업연구원, 무역협회), 농림축산식품부(aT), 해양수산부(KMI), 중소기업벤처부(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등 관련 부처와 유관기관·연구기관·협회 등의 협업 체계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TF는 부처 간 신속한 정보공유와 공동작업을 통해 관세로 인한 피해 분야를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무역·산업·공급망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도 논의할 계획이다.
TF의 점검 결과는 필요시 장관급 회의체(경제관계장관회의,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대외경제장관회의, 공급망안정화위원회 등)에서도 논의해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대응과 지속적인 후속 조치가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김 차관은 이날 회의를 마치면서 관계부처들과 함께 최근 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정부는 현재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국제금융시장 전반과 주요 국가들의 상황 등을 비교해 국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지 않도록 경계감을 갖고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