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기업의 금융애로 해소와 원전 생태계의 활력 제고를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여의도 전력기반센터에서 '원전산업 경쟁력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주재하고 원전기업 금융 애로 해소 방안과 원전 생태계 활력 제고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산업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 등 관계 부처와 한국수력원자력, 산업은행, 기업은행,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 관련 기업과 금융기관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앞으로 TF를 통해 관계 부처 및 기관과 원전기업의 금융 애로 해소 방안과 원전 업계 일감 확보 방안 등을 논의해 실행할 계획이다. TF 산하에는 실무추진단을 상시 가동해 업계 애로사항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원전 기업들이 직접 참여해 일선 기업들이 겪고 있는 금융 애로사항과 인력, 일감 등 기타 경영상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했다. 중기부와 금융위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활용한 원전 기업의 유동성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은 원전기업 대상 현장상담회처럼 원전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애로 해소방안을 검토한다.
한수원은 앞으로 인력, 일감 등 원전 생태계 유지와 관련한 원전 기업들의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중소 원전업체를 위한 상생 협력방안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는 '원전기업 애로 상담센터'가 신설돼 원전 업계의 애로사항을 접수·상담하는 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에너지 안보, 안정적 전력수급 측면에서 국내외적으로 원전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며 "원전 수출, 일자리 창출 등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원전을 적극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