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10일 1기 경제 내각을 발표한 가운데 일명 ‘경제 원팀’의 운용 방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그동안 “국무총리뿐만 아니라 경제부총리·금융위원장·경제수석까지 경제 원팀이 드림팀으로 이뤄질 수 있는 최적임자를 찾고 있다”고 강조해온 바 있다.
이런 원팀 기조와 관련해 관가에서는 “경제 분야에서 속도감 있게 성과를 내라는 당선인의 지시가 반영된 것”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특히 윤 당선인이 정통 관료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부처에 힘을 실어주겠다고 누차 밝힌 만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잡아나가라는 뜻으로 보고 있다. 특히 경제 위기 국면에 정책 방향을 두고 혼선을 빚거나 방향을 결정하고서도 좌고우면하느라 타이밍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의지가 원팀에 담겨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서울대와 모피아(재무부+마피아의 합성어) 중심으로 일종의 집합 지휘 체계를 만들어 내부 잡음을 최소화하면서 빠르게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취지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실제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김소영 서울대 교수를 비롯해 추 경제부총리 후보자, 원희룡 국토부 장관 후보자, 최상목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 등은 모두 서울대 또는 모피아 출신이라는 공통 분모를 최소한 하나씩은 갖고 있다. 윤 당선인이 직접 지명하지는 않았지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도 서울대 출신에 모피아들과도 워낙 친분이 깊어 ‘원팀’에 녹아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경제 부처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때 ‘경제 투톱’으로 나선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동연 전 부총리의 갈등이 반면교사가 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출범과 동시에 박근혜 정부 때 폐지했던 정책실장 제도를 되살려 '학자-관료' 조합으로 경제팀을 꾸렸지만 이후 소득 주도 성장, 부동산 정책 등에서 양측이 사사건건 갈등해 정책 실패를 오히려 더 키우는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문재인 정부때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한 관료는 “두 사람의 갈등이 너무 심해 사무관이나 과장들의 아이디어가 청와대에 전달되기 어려울 정도였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원팀 운영에 대해 경제정책의 다양성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독선에 빠져 경제를 한 방향으로만 밀어붙이다가 자칫 ‘정책의 이념화’로 실패한 문재인 정부의 전철을 밟을 우려도 있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