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통화공급 증가가 집값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통화공급 증가의 파급효과와 코로나19 경제위기’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지적하며 “통화공급 확대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특정 부문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는 진입장벽을 낮추든지 규제를 완화해 공급이 빠르게 늘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4분기 광의통화(M2)는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확장적 통화·재정 정책과 금융안정 정책으로 통화공급이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한국은행은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정부는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으며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한 82조원 규모의 유동성 공급이 이뤄졌다.
하지만 통화량의 증가에도 주택시장의 공급이 탄력적으로 이뤄지지 못하며 지나치게 빠르게 가격이 상승했다고 KDI는 분석했다. 실증분석 결과 통화량이 1.0% 증가할 때 주택가격은 1년에 걸쳐 0.9%가량 상승했다. 경제 전체의 산출물 가격인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가 2년에 걸쳐 0.5% 상승하는 것에 비해 빠르고 큰 폭의 반응이다.
다만 실물경제 부문에서는 자산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급이 탄력적으로 반응해 통화공급 증가가 생산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KDI는 지적했다. 정대희 KDI 경제전략연구부 연구위원은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밀집활동 관련 서비스 공급이 제약되는 상황에서는 총수요 확대 정책의 생산 증대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며 “경기 완충 목적의 거시경제 정책 효과가 축소됐을 가능성을 고려해 필요하면 추가적인 확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세종=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