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는 KRX300에 포함된 코스닥 69개 종목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작년 2월 5일 KRX300 출시 이후 1년여간 약 1조4,000억원으로 이전 1년간 일평균 거래대금(약 1조1,000억원)보다 23.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닥 전체의 일평균 거래대금 증가율 4.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또 해당 69개 종목 거래금액에서 기관·외국인의 비중은 이 기간 27.0%에서 35.3%로 8.3%포인트 높아졌다.
코스닥 전체 기관·외국인 거래 비중은 3.0%포인트(13.1%→16.1%) 상승에 그쳤다.
69개 종목 중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의 기관·외국인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20.8%에서 30.3%로 9.5%포인트나 높아졌다. 69개 종목의 지난 15일 기준 시가총액은 94조원으로 KRX300 시총의 약 7%를 차지했다.
나머지 93%를 차지한 231개 코스피 종목의 시총은 1,283조원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는 KRX300 지수 출시 이후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 15개 종목, KRX300 선물 편입 ETF 3개 종목 등 모두 18개 종목의 KRX300 관련 ETF가 상장했다고 소개했다. 여기에 KRX300을 추종하는 장외 지수펀드(인덱스 펀드)가 총 129개 생기는 등 KRX300 관련 ETF 및 패시브 펀드 등의 순자산 총액은 약 8,200억원 규모다. KRX300 관련 선물도 ETF 설정·환매 및 헤지 수요로 거래가 꾸준히 늘어 지난달 일 평균 거래량은 796계약에 이르렀다. 특히 지난해 10월 KRX300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레버리지·인버스 ETF가 출시된 이후 선물 거래가 크게 늘었다. 거래소는 기관·외국인의 코스닥 참여를 더 확대하고 대형·우량 코스닥 종목의 장기·안정적 수요기반 확충을 위해 코스닥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기관·외국인 대상 맞춤형 마케팅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박경훈기자 socoo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