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5일 새벽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 발표 이후 진행됩니다.
미국은 금리 인상이 거의 확실시 되는 분위기인데요.
국내에서는 암울한 경기 탓에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1,300조원 가계부채의 위험을 안고도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리는 역주행을 택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정훈규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은 다음 주 1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저금리 시대 마감으로 해석돼 글로벌 자금 흐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관측됩니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이 금리를 좇아 빠져나가면서 금융·외환시장에 충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12월 미국의 1차 금리 인상 때 3개월간 6조3,000억원 가량의 자금이 빠져나간 바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더는 금리를 내릴 수 없는 상황이지만 문제는 경기 부양에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한국은행조사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한달 새 6.1포인트 급락했고, 통계청의 제조업 평균가동률 지표도 70.3%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수준(2009년 3월 69.9%)에 그치고 있습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도 내년 물가 상승률이 1% 초반에 머물 것으로 전망하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려야 한다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최순실 사태로 정부 경제 컨트롤 타워가 공백인 점도 경기 부양을 위해 한국은행이 나서주길 바라는 기대를 키우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 3분기까지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를 내렸다간 자칫 가계부채 규모만 더 키울 수고, 반대로 올리는 선택도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대출금리 상승세를 더 부추겨 가계부담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임박한 미국의 금리 인상과 국내 경제 상황 속에 한국은행의 셈법은 어느 때보다 복잡해졌습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영상편집 김지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