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4분기 39세 이하 가구주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1만원이었다. 한국감정원이 파악한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억5,480만원이었다.
단순히 계산하면 20∼30대 가구주는 약 12년 6개월을 모아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마련할 수 있는 셈이다.
20∼30대 가구주가 서울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점점 길어지는 추세다.
연간 기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과 매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비교해보면 지난 2013년 약 11년 6개월 걸리던 기간이 2014년에는 약 11년 7개월, 지난해에는 약 12년 11개월까지 연장됐다. 그러나 이 역시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현실적으로 소비해야 할 곳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지출분은 배제돼 있다.
소비지출을 하고 가구가 자산 매입과 저축에 활용할 수 있는 흑자액은 올해 3·4분기 기준 월평균 120만원 정도다. 이렇게 되면 20~30대 가구주가 은행에 의존하지 않고 집을 마련할 때 걸리는 기간은 약 38년 6개월로 늘어난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선 젊은 가구주들은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백웅기 상명대 교수는 “2014년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며 부동산 가격이 빨리 뛰었다”며 “결혼 연령대인 20∼30대에게 내 집 마련이 지상과제처럼 돼 있다 보니 젊은 층이 소비를 절대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젊은 세대의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