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동성 위기로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에 들어간 한진 중공업에 2,00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7일 금융당국과 채권단에 따르면 한진중공업은 이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자율협약을 신청했다. 산은은 이르면 다음주 채권단협의회를 소집해 한진중공업 2,000억원 지원 안건을 논의할 계획이다. 2,000억원은 한진중공업이 금융권에 진 빚 1조6,000억원에 따른 이자 비용이 대부분이다.
산은의 이 같은 지원 방안은 한진중공업이 담보를 제시한 것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진중공업의 자회사인 대륜발전과 별내에너지의 주식담보가치만 1,300억원에 달하고 인천 신항 항만 부지 등 토지와 건물, 예금 채권 등에서도 1,670억원의 담보가 가능하다. 여기에다 한진중공업의 유동성 위기가 일시적으로 판단되는 점도 지원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채권단 관계자는 "영업이익도 흑자로 돌아섰고 필리핀 수빅 조선소 등에서 안정적인 수주 활동을 벌이고 있어 일시적 유동성 위기만 넘기면 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채권단은 지난 10월 말 만기가 돌아온 2,023억원에 달하는 차입금 상환도 오는 2023년까지 연장해줬다. 채권단 일부가 자금회수를 요구했지만 한진중공업이 차입금의 20%를 상환하면서 만기 연장에 동의해준 것이다. 다만 최근 기업구조조정 위기가 가중되면서 채권단의 몸 사리기 경향이 짙어지고 있는 것은 부담이다. 자율협약은 채권단 100%의 합의가 있어야 돼 채권단 중 한 곳이라도 거부하면 무산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크아웃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문제다.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연장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자율협약에 실패하면 바로 법정관리로 직행하게 된다. /임세원기자why@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