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재영 교수 |
|
 | 고재영 교수 |
|
 | 고재영 교수 |
|
 | 이영희 교수 |
|
 | 이영희 교수 |
|
 | 이영희 교수 |
|
 | 김진의 교수 |
|
 | 김진의 교수 |
|
 | 김진의 교수 |
|
'국가 석학' 11명 선정
SCI 인용횟수 노벨상 사상자 근접 정부, 5년간 年2억씩 연구비 지원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고재영 교수
이영희 교수
김진의 교수
황우석 교수 줄기세포 파문으로 국내 과학계가 치명적인 내상을 입은 가운데 정부가 이공계 우수 과학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재정 지원에 나섰다.
정부의 이번 우수 과학자 지원은 황 교수 사건으로 침울해진 국내 과학계가 다시 활기를 되찾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인적자원부와 학술진흥재단은 13일 서울대 김진의 교수(물리학) 등 11명을 '국가석학(Star Faculty)'에 선정, 앞으로 5년간 매년 2억원(이론 분야 1억원)씩의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필요할 경우 5년을 더 연장해 최장 10년 동안 최대 2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된 국가석학 지원사업은 지난해 9월 시행공고 이후 과학논문색인지수(SCI) 피인용 빈도가 1,000회 이상인 과학자를 대상으로 5단계의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이뤄졌다. 3대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이들의 공통점은 뛰어난 연구업적이다.
이번에 선정된 과학자는 물리학 분야에 김대식 교수(서울대), 이수종 교수(서울대), 이영희 교수(성균관대), 장기주 교수(한국과학기술원), 화학 분야에 김동호 교수(연세대), 김성근 교수(서울대), 백명현 교수(서울대), 생물학 분야에 고재영 교수(울산대), 권병세 교수(울산대), 정진하 교수(서울대) 등이다.
이들 중 SCI 피인용 지수는 김진의 교수가 4,937회로 가장 높았고 고재영 교수 4,565회, 이영희 교수 4,156회 순이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노벨상 수상자들이 대체로 5,000회의 SCI 인용횟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때 이번에 선정된 과학자들도 이에 근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내년에는 수학ㆍ지구과학뿐 아니라 인문과학 쪽으로도 분야를 넓혀 2010년까지 총 50명의 국가석학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날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2층 국무회의 식당에서 자리를 함께한 교수들에게 "황 교수 사태로 전 국가가 공황상태지만 우리 과학계에도 탁월한 과학자들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서울대학교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APER)'가 사회과학논문색인지수(SSCIㆍ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저널에 국내에서는 세번째로 등재되는 개가를 올렸다. SCI와 함께 국제학술정보기관인 ISI(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가 발표하는 SSCI에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국방연구원의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93년)와 아시아여성학센터의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97년)만 등재돼 있다.
입력시간 : 2006/01/13 17:32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