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44.0세로 집계됐다. 근로자 평균연령은 ▦1970년 34.7세 ▦1980년 37세 ▦1990년 38.9세 등으로 30대였다가 1999년 40.1세를 돌파한 후 40대 중반까지 이르렀다.
청년층 취업이 위축되고 고령층의 고용 비중이 확대되면서 노동시장의 중심축은 40대 중반 중장년층으로 옮겨갔다. 실제 40세 이하 계층이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 61%에서 2012년 45%로 낮아진 반면 40세 이상은 39%에서 55%로 확대됐다.
근로자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청년취업은 부진한 데 노후준비가 덜된 고령층은 취업시간에 잔류하고 있는 영향도 있다. 지난 201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우리나라 고령층 고용률은 7위(62.1%)이고 청년층 고용률은 29위(23.1%)다.
정선영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전문연구원은 "특히 2000년대 들어 장년ㆍ고령층에 편입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노후소득 불안정 등에 따른 생계를 위한 취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고용 증가세 둔화, 고용구성 고령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 연구원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청년층 고용 확대를 통해 고용률을 올리고 고용의 유연성도 제고해야 한다"며 "취약한 소득ㆍ연금구조에 따라 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되고 있는 고령층의 고용환경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