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인과 함께 인류행복위해 일하길"
입력2000-06-16 00:00:00
수정
2000.06.16 00:00:00
송용창 기자
"한국인과 함께 인류행복위해 일하길"달라이 라마 다람살라 현지인터뷰
제14대 달라이라마(65)는 단순히 티베트의 정치적, 종교적 지도자만은 아니다. 메마른 현대문명에 종교적 양식을 제공해온 몇 안되는 세계인의 정신적 지도자 중 한명이다.
그 밑바닥엔 근대문명 저편에서 종교적 순수성을 잃지 않은 티베트 불교의 자비심과 함께 비폭력 평화투쟁이란 그의 일관된 티베트 독립운동의 삶이 깔려있다.
14일 오전 11시(현지시각) 인도 다람살라 달라이라마궁에서 가진 인터뷰에서그는 “폭력을 통한 문제해결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며 “남북 정상들도 고립된 위치에서 한발짝 앞으로 나와 대화를 통해 슬기롭게 문제를 극복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예전부터 한국을 방문하고 싶었다는 그는 초청단의 방한 요청을 수락하며 “세계인의 행복을 증진하는 데 한국인과 함께 노력하고 싶다”고 말했다.
정부의 비자 발급 거부로 방한에 차질을 빚고 있는 데 대해 그는 “어디를 가든지 그 나라 정부에게 불편을 끼치고 싶지 않다”며 “모든 일은 부드럽게 나아가야 한다”면서 원만하게 방한문제가 해결되기를 기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한국방문 문제 원만한 해결 희망 남북지도자 모두 경험이 많은 분"
-한국 방문 목적은?
“어느 나라를 방문하든 나의 방문은 비정치적인 것이었다.
이번 방한의 목적 역시 인간의 가치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다음으로 종교적 화합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고, 티베트 불교와 한국불교의 상호교류에도 힘쓸 것이다.
1960년대 중반쯤 나의 고모 중 한명이 동국대에 티베트 경전을 기증한 이후 티베트 승려가 한국을 방문할 기회를 많이 가졌고, 나에 대한 초청도 수락했다.
같은 불교국가로서 한국 방문을 열망해왔다. 한국은 정통성이 강한 나라다. 많이 배우고 싶다.”
-한국에 오면 무엇을 하고 싶은가?
“한국 친구들로부터 김치 선물을 자주 받았다. 우선 방한하면 한국 본토에서 김치를 맛보고 싶다.(웃음) 학자와 대중들을 만나고 싶다.
또 정치지도자가 만나기를 원하다면 만날 것이고, 원치 않는다면 만나지 않을 것이다. ”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졌다. 남북정상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나의 근본신념은 무력을 쓴 문제해결 방식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대화를 통해 서로의 고립된 위치를 벗어나 한발짝씩 앞으로 다가서야 한다.
두 정상 모두 경험이 많은 지도자들이기 때문에 내가 드릴 말은 많지 없지만, 인내와 결단력, 그리고 전체적으로 생각하며 조망하는 시야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싶다.
-티베트 문제는 어떻게 해결돼야 하나.
“1980년대 후반부터 우리는 티베트 독립 대신 자치만을 요구하고 있다. 티베트의 종교와 문화만이라도 살려야한다. 중국 정부와 대화를 시도하려고 끊임없이 노력 중이다.”
-당신을 ‘살아있는 부처’라고도 부르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 불편함을 느낀다. 우리는 똑같은 사람이고 인류다. 그리고 부처님을 따르는 불자다. 나 자신 단순한 한 사람의 승려다. 41년전 망명한 이래 나는 늘 세계시민으로 생각해왔다.”
-티베트 불교의 특징은?
“티베트 불교 수행자는 대승불교, 소승불교, 탄드라불교의 가르침을 모두 공부하며 수행한다. 나는 신경학, 물리학, 심리학 등을 공부했다.
매우 재미있고 흥미롭다. 이런 것들이 모두 불교에 공헌할 수 있다고 믿는다. 어떤 학자는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마음의 과학이라고 했다.
티베트 불교는 이런 공부와 수행을 통한 사람의 심성 뿐 아니라 동물에게까지 미치는 자비심으로 표현된다. 자비심이 가장 중요하다. 자비심을 통해 외적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다.”
-현재 망명상태에서 티베트 문화와 종교를 보존하는 방법은?
“억지로 시킨다고, 박물관에 둔다고 문화와 종교가 보존되는 것이 아니다.
자발적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에 대해 올바로 인식한다면 자발적으로 나설 것이다.”
-여전히 건강한 모습이다. 건강비결은? 요즘 읽고 있는 책은?
“특별한 비결은 없다. 잘 자고, 잘 먹고, 마음을 평화롭게 가지는 것이다. 한국인삼이 몸에 좋다고 하던데 아직 먹어보지 못했다. (모두 웃음) 불교관계 책을 많이 본다. 요즘 보고 있는 것은 불교 인식론과 관련 책이다.”
인도 다람살라=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입력시간 2000/06/16 18:20
◀ 이전화면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