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리스크는 이미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다. 미국 경제의 회복세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연말께로 예상된다. 글로벌 자금흐름이 급변동하는 건 물론 미국경기의 회복이 지연될 수도 있다.
양적완화 축소에 가장 민감한 건 신흥국이다. 신흥국에서 자금이 유출되며 자산가격이 폭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이 수요부진에 빠져 신흥국 경기가 더 둔화할 수 있다.
미국 부채한도 협상도 순탄치 않을 것이란 점에서 불안요인이다. 미국 민주ㆍ공화당은 오는 9월까지 정부부채 한도 상향조정을 두고 협상을 벌인다. 협상이 실패할 가능성은 적지만 국가 신용등급 하향우려로 이어질 수 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가 일본 정부의 예상과 다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주목된다. 주가급락, 금리상승,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본이 흔들리면 불안감은 전세계로 확산된다.
오는 9월 독일 총선에서 여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면 정치적 혼란이 커질 수 있다. 이탈리아의 정부 지지율도 30%대로 급락했다. 남유럽 재정문제 등 주요 현안에 역내 불협화음이 커질 수 있다.
성장속도가 다른 나라들이 각기 다른 정책을 쓸 경우 자금 쏠림현상이 일어나거나 자산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다. 자국시장 보호를 위해 각국이 규제를 강화 또는 완화한다면 국제적 정책공조는 요원해진다.
지난해부터 시리아, 이란 등 중동지역과 중국, 일본, 북한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 불안은 최근 완화했지만, 중동지역은 돌발사태 발생 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여전하다. 중동의 불안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