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이 부실화된 데 대한 책임 소재에서 캠코 역시 자유로울 수 없는데다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결정하기까지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쳤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응급실에 들어간 환자를 보고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것과 같은 것"이라면서 "의도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장 사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쌍용건설은 투자의사결정에서 자기자본의 세 배에 달하는 5,000억원의 손실을 봤으니 자구노력을 한들 (회생)되겠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쌍용건설을 포함해 모든 건설업이 다 힘들다"고 덧붙였다.
쌍용건설의 최대주주였던 캠코는 지난해 11월22일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 기한이 끝남에 따라 의결권을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넘긴 상황이다. 다만 우리은행 등 채권단은 캠코 측에 부실관리 책임을 물어 쌍용건설에 출자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장 사장은 "쌍용건설의 투자의사결정에 캠코는 참여하지도 않았다"며 "더구나 6년 전부터 기금 정리 시한이 정해진 상황에서 캠코가 부실을 떠넘겼다는 것은 루머를 만들기 위한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또 해외건설 수주로 회생할 수 있다는 채권단의 주장에 대해 "해외라고 꼭 안전할 수 없다. 국내 대형 건설사도 전부 해외로 나가기 때문에 수주환경이 굉장히 경쟁적"이라고 역설했다.
장 사장은 또 캠코가 종잣돈을 댈 국민행복기금에 대해 "국민행복기금은 238만명에 달하는 다중채무자를 구제하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이는 전 금융권의 협조가 필요한 사안이며 관련 기관이 결집해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