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국민·롯데·NH농협카드 등 카드정보 유출 사태가 카드의 대량 재발급으로 이어지는 '카드런 사태'로 번진 가운데 정보 유출 피해를 상담하는 국민은행과 국민카드의 '정도'를 벗어난 행위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국민카드는 다른 카드사와 달리 카드번호·유효기간 등이 유출되지 않아 재발급받지 않아도 된다고 안내하고 나선 것이 다른 카드사들의 반발을 샀기 때문이다.
22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카드의 정보 유출 상담을 받는 국민카드 영업점에서 직원들이 "다른 카드사와 달리 카드번호·CVC·유효기간 등이 유출되지 않아 재발급을 받지 않아도 된다"며 롯데·농협카드와 다르다고 안내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롯데·농협카드 등이 이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카드와는 달리 롯데·농협카드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결제정보 등 민감한 정보가 노출됐다. 롯데·농협카드의 민원을 상담하는 고객창구에서는 국민은행과 달리 유출 내역 사실을 솔직히 적시해놓았다.
국민은행 영업점을 방문한 한 고객은 "대고객 유인물을 영업점에서 붙여놓고 나눠주기까지 했는데 타 카드와 정보 유출의 정도가 다르니 안심하라는 듯한 인상을 받아 황당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의 차별화(?) 전략은 대고객 상담 메시지(SMS)에서도 이어졌다. 국민은행의 한 지점장은 이날 문자메시지를 통해 "카드번호·유효기간이 노출되지 않아 안심해도 좋다"는 내용을 담아 고객들에게 송부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해당 메시지가 고객들의 안심을 촉구하는 내용이지만 "정보 유출의 한가운데 있는 기업으로서 자중하는 것이 맞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