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상태 변화의 가능성이 큰 탓에 눈이 쌓인 비탈의 위험성은 예측불허다. 애덤스 교수 같은 과학자조차 눈사태의 세부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것이 없을 정도다.
애덤스 교수의 연구는 몬태나주 냉동연구실(SRF)에서도 진행된다. 여기서 그는 영하 20℃의 냉동실 속에서 18℃로 온도가 유지되는 작은 물웅덩이에 공기를 불어넣어 연구용 인공 눈을 만든다. 웅덩이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천장의 실에 닿아 응결되는데 이 실을 잡아 빼면 눈송이가 떨어진다. 그리고 이 눈은 상자에 담겨 다른 방으로 옮겨진다. 천장을 냉각시켜 겨울 하늘 아래서 내리는 눈을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이다.
그는 '복사 재결정(radiation-recrystallization)'에 관심이 많다. 이는 눈이 쌓였을 때 아래쪽의 눈이 표면의 눈보다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램프로 눈의 온도를 높인 후에 눈을 더 쌓고 그 경계층에 페인트로 표시를 한다. 이렇게 계속해서 층을 쌓아가며 응력실험을 하는 동안 컴퓨터는 페인트 마커의 위치변화를 기록한다. 눈더미가 무너지는 순간까지 일어나는 내부적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다.
| 안정성 측정 뉴질랜드의 공학자 아서 틴들은 불안정한 눈의 층을 알려주는 눈 탐사기를 설계했다. 이 탐사기는 긴 강철 막대기 끝에 원형 손잡이를 부착한 형태다. 손잡이를 돌리면 막대기가 눈 속으로 들어가는데 그 과정에서 눈의 저항력이 측정된다. 손잡이가 잘 돌아갈수록 저항력이 적은 것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물리학자 크리스 보스타드 박사는 압력센서를 채용한 휴대형 블레이드를 개발했다. 이를 눈 속에 밀어 넣으면 눈의 저항도와 함께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