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우크라전 3년만 푸틴 최측근 방미…휴전협상 돌파구 찾을까
국제일반2025.04.0210:38:32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처음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 고위 관리가 미국을 찾는다.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 국제협력특사가 이끄는 방미 대표단은 이번 주 워싱턴DC에서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특사와 회동을 갖고, 우크라이나 휴전과 관련한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전쟁 3년여 만에 이뤄진 미-러 고위급 공식 접촉으로 사실상 교착 상태에 빠진 휴전 협상에 돌파구가 될지 주목된다. CNN은 1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드미트리예프 특사가 미국 국무부의 일시적인 제재 해제를 통해 입국 비자를 발급 받
김흥록 특파원의 뉴욕 포커스
'트럼프 경제'의 성패, 키(Key)는 동맹이 쥐고 있다[김흥록 특파원의 뉴욕포커스]
사내칼럼 2025.03.23 18:42:13
최근 뉴욕에서 만난 통화정책 전문가 A 씨에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대에 경제 전망은 불투명하지만 어찌됐든 제로금리 시대는 끝난 것 아닌가”라고 물었다. 그는 “지금 상황이라면 누구도 모른다. 예상 외로 제로금리 시대가 또 올지도 모를 일”이라고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제로금리는 끝났다는 보편적 인식을 깨는 전망이다. A 씨의 발언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은 그간의 큰 추세를 근본적으로 바꿀 만큼
김광수의 中心잡기
국내 최초 등산보조 로봇 이용 태산 등정기 [김광수의 中心잡기]
경제·마켓 2025.03.25 06:00:00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중국 ‘오악(5대 명산)’의 하나인 태산은 예로부터 중국인에게 신령한 산으로 꼽혔습니다. 산둥성에서 가장 높은 산이지만 해발 1535미터로 그리 높은 편은 아닌데, 산 아래부터 정상까지 7800여개나 되는 계단으로 악명이 높은 편입니다. 지금은 산 중턱까지 차량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상 부근까지 케이블카로 오를 수 있지만 계단으로만 오른다면 난이도가 꽤 되는 산이죠. 이런 태산
  • 美정부 "바이든 때 韓, 민감국가 최하위 범주에 추가"
    정치·사회 2025.03.15 05:07:57
    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이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들어 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지난 1월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이뤄진 조치로,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에 추가돼 민감국가인 중국, 러시아, 북한보다는 제한이 엄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미간 과학기술 협력에 새로운 제한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4월 15일로 예상되는 효력 발효에 앞서 시정을 위해 미국과 적
  • 美 에너지부 "1월 초 한국 민감국가에 추가"…4월 15일 발효 예상
    국제일반 2025.03.15 04:52:15
    미국 정부가 14일(현지시간) 한국이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ensitive and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SCL)에 들어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다만 주무부서인 미국 에너지부(DOE)는 한미 간 과학·기술 협력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의 이런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현 행정부가 출범하기 직전인 올해 초에 이전 정부인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DOE 대변인은 이날 최근 DOE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
  • "지뢰밭 3일 동안 기어서 살았다"…'부상' 우크라 군인 '기적의 생존법'
    정치·사회 2025.03.15 03:00:00
    우크라이나 군사정보부대(HUR) 소속 한 군인이 수류탄 폭발로 부상을 입고 지뢰밭에 갇혔으나 사흘만에 극적으로 생환한 사연이 알려졌다. 13일(현지 시간) 키이우포스트에 따르면 군사정보부대 '아르탄' 소속 '코홀'이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군인은 포위된 동료를 구출하던 중 위기에 처했다. 동료를 구해내는 데는 성공했으나 귀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감시 드론은 배터리가 방전됐고 야간 투시경도 고장난 것이다. 방향을 잃은 코홀의 팀은 실수로 적진 300m 깊숙이 들어갔다. 러시아군과 교전하던 중
  • 美 상무 "車관세, 韓 포함 모든 국가 부과가 공평"
    정치·사회 2025.03.15 02:07:09
    하워드 러트닉(사진) 미 상무부 장관이 다음달 2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 관세와 관련, 한국과 일본, 독일 등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수입차에 상호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러트닉 장관은 14일(현지 시간)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가 한국과 일본, 독일 등 국가에서 들어오는 자동차에도 부과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이 공평하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그는 "(가령) 일본이 한국이나 독일에 비해 불공정한 이점을 갖도록 만들면 안된다"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공평함에 초점
  • 헤그세스 美국방 방한 무산…또 ‘韓 패싱’
    정치·사회 2025.03.15 01:52:57
    피트 헤그세스(사진) 미 국방장관의 취임 후 첫 인도·태평양 순방에서 한국이 제외됐다. 14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애초 이달 하순께로 예상됐던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이 무산됐다. 헤그세스 장관은 조만간 괌, 하와이, 일본, 필리핀 등 인도·태평양 역내의 주요 미군 기지와 동맹국을 방문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한국도 방문지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결국 포함시키지 않았다. 헤그세스 장관의 카운트파트인 한국 국방부 장관이 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윤석열 대통
  • 美 3월 소비자심리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경기 식고 물가 상승’
    경제·마켓 2025.03.14 23:39:56
    미국 소비자들의 1년 뒤 인플레이션 전망이 4.9%로 높아졌다. 경제에 대한 자신감은 3년 전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달했을 당시 수준으로 쪼그라 들었다.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을 향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3월 예비치가 전월 64.7에서 57.9로 하락했다. 석달 연속 하락이며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63.0을 하회했다. 현재 경제에 대한 판단인 경기현황지수는 전월 65.7에서 63.5로 줄어들었다. 전망치 64.4를 밑돌았으며 2022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
  • "해외만 나가면 꿀 먹은 벙어리 되는데"…여행 필수품 될 내 귀에 '통역사'
    국제일반 2025.03.14 22:47:13
    애플이 올해 하반기부터 자사의 무선 이어폰 ‘에어팟’을 이용한 동시통역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다. 13일(현지시각) IT 전문 매체 더 버지를 포함한 미국 매체들은 관계자를 인용해 애플이 올해 하반기에 차세대 모바일 운영체제(OS) ‘iOS 19’와 연동되는 에어팟 실시간 통역 기능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해당 기능은 에어팟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형태로 적용된다. 애플은 이미 지난해 2세대 ‘에어팟 프로’에 청각 관련 기능을 추가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보청기 및 청력 테스트 기능을 공개하기도 했다. 관계자는 새로운 통
  • "술집인데 왜 술이 없어?"…美 MZ들 요즘 푹 빠졌다는 '칵테일 바' 정체는
    국제일반 2025.03.14 22:19:26
    최근 미국 MZ들 사이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 라이프 스타일이 트렌드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논알코올 바(Non-Alcoholic Bar)’와 같은 술 없이도 즐길 수 있는 사교의 공간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최근 발간한 해외 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미국의 ‘소버 리빙(Sober living)’을 조명했다. 소버(sober)란 ‘술에 취하지 않은’, ‘냉정하고 차분한’이란 의미의 단어다. 건강과 자기 관리에 관심이 높은 MZ세대가 논알콜 음료를 찾기 시작하면서 미국과 유럽의 주요 도시에는 논알코올
  • "오늘 저녁은 '공짜'로 먹어볼까"…짠내나는 마감할인족 위해 '무료'로 준다는데
    국제일반 2025.03.14 19:29:57
    경기 침체와 고물가로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마감 세일'이 고물가 시대를 살아가는 ‘생존 노하우’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영국의 대형 마트 테스코가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 테스코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을 자선단체와 직원들에게 우선 제공한 후 그래도 남은 것은 ‘노란 스티커’를 붙여 고객들이 무료로 가져갈 수 있게 했다. 13일(현지시각) 인디펜던트, 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스코는 일부 익스프레스 매장에서 오후 9시 30분 이후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에 ‘0파운드’로 표시된 노
  • OS 독립 나선 화웨이 "PC에도 윈도 안쓴다"
    경제·마켓 2025.03.14 18:20:42
    운영체제(OS) 독립에 나선 중국 대표 정보기술(IT) 기업 화웨이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사용을 중단한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하드웨어는 물론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분야에서 기술 자립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렌서에 따르면 화웨이의 한 핵심 관계자는 14일 “미국 상무부에서 발급한 (MS 윈도 사용에 대한) 화웨이 라이선스가 만료됐다”며 “연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MS의 화웨이에 대한 윈도 OS 공급은 이달 말 완료된다. 화웨이는 앞으로 100% 자체 OS만을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 "달걀, 한 알에 1000원꼴" 사상 최고가 기록에…美, 조류독감 백신 개발 착수
    경제·마켓 2025.03.14 17:45:01
    미국의 달걀 가격이 폭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 정부가 고병원성 조류독감 유행을 막기 위한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AP통신은 미국이 달걀값 폭등 속에서 닭 백신 연구 본격화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12월 이후 조류독감으로 인해 1300만 마리가 넘는 산란계를 폐사하거나 살처분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달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급상승했으며 미국 내 달걀 12개의 평균 가격은 2021년 1월 1.47달러(한화 약 2100원)에서 지난달 4.95달러(한화 약 7200원)로 237
  • 관세 전쟁 우려에 금값 3000달러 찍었다
    경제·마켓 2025.03.14 17:43:10
    국제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격화하자 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3일(현지 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1.51% 오른 온스당 2991.3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이날 장중 3001.50달러까지 찍어 사상 처음으로 3000달러 선을 넘어섰다. 금값 상승의 촉발 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주요국을 상대로
  • 푸틴 “전장서 우위 확보 전 휴전 없다” …트럼프, 경제 제재로 압박
    국제일반 2025.03.14 17:41:54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완전한 승기를 잡기 전까지는 휴전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미국과의 관계를 의식해 휴전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협상을 일부러 지연시켜 러시아군의 전력을 극대화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경제제재를 지렛대로 러시아의 휴전안 수용을 압박할 태세다. 13일(현지 시간) 푸틴 대통령은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휴전 자체는 옳고 우리는 이를 지지할 것이지만 논의해야 할 문제들이 있다”면서 휴전안의 즉각 수용이 어렵다
  • '날개 올라가 벌벌 떨었다'…'178명 탑승' 美 비행기 화재에 12명 경상
    정치·사회 2025.03.14 17:39:03
    13일 오후 6시(현지시간)께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국제공항에 착륙한 아메리칸항공(AA) 1006편 여객기에 불이 나 승객들이 날개 위로 긴급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사고로 승객 12명이 경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연방항공국(FAA) 성명문에 따르면 이날 콜로라도 스프링스 공항을 출발해 텍사스주 댈러스포트워스 공항으로 향하던 아메리칸항공의 보잉 737-800 여객기는 비행 중 승무원이 엔진의 진동을 감지하자 회항해 오후 5시15분께 덴버 공항에 착륙했다. 이후 게이트를 향해 지상 주행하던 중 여
  • "유연성" 언급 하루 만에 "굽히지 않겠다"…트럼프, 관세 전면전 불사
    정치·사회 2025.03.14 17:38:4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에서 유연성을 보이겠다는 입장을 하루 만에 뒤집고 “굽히지 않겠다”며 강공 방침을 밝히면서 통상 마찰이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테슬라조차 관세정책에 우려를 드러내는 상황에서도 유럽산 주류 제품에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등 전면전을 불사할 태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만나 “미국은 여러 해 동안 갈취당했고 더 이상 당하지 않을 것”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