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첫 XR기기 내놓은 삼성…AI 생태계 확장 본격화
    첫 XR기기 내놓은 삼성…AI 생태계 확장 본격화
    기업 2025.10.15 22:46:50
    삼성전자(005930)가 구글과 공동 개발한 확장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22일 전 세계에 공식 선보인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스마트워치·스마트링 등을 중심으로 형성돼온 갤럭시 생태계를 XR로 확장하는 제품으로 언어·이미지·음성 등을 동시 처리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AI)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기기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15일 갤럭시 이벤트 초대장을 배포하고 22일 오전 11시(한국 시간)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탑재한 새로운 헤드셋 기기를 공개한다고 밝
  • 에임드바이오, 베링거인겔하임에 최대 1.4조원 규모 ADC 기술수출
    에임드바이오, 베링거인겔하임에 최대 1.4조원 규모 ADC 기술수출
    기업 2025.10.15 22:04:07
    에임드바이오는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2018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스핀오프한 에임드바이오는 연내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에임드바이오에 따르면 총 계약 규모는 선급금과 개발, 허가, 상업화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합산해 최대 9억 9100만 달러(약 1조 4000억 원)다. 매출 기반 로열티는 별도 지급된다. 구체적인 선급금 및 세부 계약 조건은 비공개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에임드바이오가 개발한 KRAS 변이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선
  • 전문가 90% 수준까지 도달…'실시간 AI통번역' 언어장벽 허문다[테크언커버드]
    전문가 90% 수준까지 도달…'실시간 AI통번역' 언어장벽 허문다[테크언커버드]
    기업 2025.10.15 18:31:08
    올 4월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해 1월 ‘제58회 세계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날’을 맞아 낸 메시지에서 “인공지능(AI)은 세대 간에 정보 교환을 촉진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완전한 소통을 하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AI가 언어와 세대로 인한 소통 장벽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인류의 정보 교환을 촉진할 기술이라는 평가다. 지난해부터 AI 기반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가 실제 업무와 생활에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소통 도구로서 AI의 가능성은 현실화되고 있다. 실시간 AI 통번역 서비스는 해외 여러 국가 연사와 청중이 참여하는 컨퍼런
  • 檢, '담합 의혹' 효성중공업·LS일렉트릭·HD현대일렉트릭 등 압수수색
    檢, '담합 의혹' 효성중공업·LS일렉트릭·HD현대일렉트릭 등 압수수색
    기업 2025.10.15 18:09:21
    검찰이 한국전력공사(한전)가 발주한 사업에 담합해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의혹을 받는 대형 전력기기 제조 업체들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15일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나희석 부장검사)는 효성중공업·LS일렉트릭·HD현대일렉트릭·일진전기 등 전력기기 제조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한국중전기사업협동조합 사무실, 이들 업체 인사들에 대해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들 기업은 한전이 2015~2022년 ‘가스절연개폐장치’ 입찰에서 낙찰가를 올리고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125조원…亞 유일 '톱5'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125조원…亞 유일 '톱5'
    기업 2025.10.15 17:51:51
    삼성전자(005930)가 인공지능(AI) 경쟁력을 앞세워 6년 연속 글로벌 브랜드 가치 5위 기업의 위상을 지켰다. 현대차는 16년 연속 브랜드 가치가 오르며 30위에 안착했다. 15일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 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5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삼성전자 브랜드가치는 905억 달러(약 124조 7400억 원)로 5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020년부터 6년 연속 5위 자리를 지키며 아시아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톱5’의 명성을 이어갔다. 올해 1위는 애플(4708억 달러)이 차지했고 마이크로소프트
  • "HBM4는 우리가 주도"…젠슨 황 방한 앞두고 기술력 과시
    "HBM4는 우리가 주도"…젠슨 황 방한 앞두고 기술력 과시
    기업 2025.10.15 17:50:37
    삼성전자(005930)가 14일(현지 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오픈컴퓨트프로젝트(OCP) 글로벌 서밋2025’에서 제시한 7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E)의 목표 핀 속도(1초당 13Gbps)는 내년부터 달라질 HBM 시장의 판도를 예고하고 있다. 핀 속도는 메모리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사이에서 데이터가 얼마나 빠르게 오갈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핀 속도가 높아질수록 전체 대역폭과 GPU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삼성전자는 내년 인공지능(AI) 가속기 시장을 주도할 6세대 HBM4와 관련해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
  • 日서 모인 이재용·정의선·손정의…한미일, 공급망 공조에 공감대
    日서 모인 이재용·정의선·손정의…한미일, 공급망 공조에 공감대
    기업 2025.10.15 17:47:54
    국내 재계 총수를 비롯한 한미일 3국 정·재계 주요 인사들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등 글로벌 공급망 문제에 대해 3국 공조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15일 일본 도쿄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제3회 '한미일 경제대화'(TED)에서다. 이날 자리에는 한미일 정부, 의회, 기업 등에서 주요 인사 10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005380)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004800)그룹 회장을 비롯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 "韓 세포치료 규제 완화해야…  항노화 산업·의료관광에 큰 기회"
    "韓 세포치료 규제 완화해야… 항노화 산업·의료관광에 큰 기회"
    기업 2025.10.15 17:47:33
    “한국이 미국 플로리다주처럼 세포치료 규제 문턱을 낮춘다면 항노화 산업 발전은 물론 의료관광에도 엄청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세포치료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이자 셀룰러리티(Celularity) 창립자인 로버트 하리리(사진) 박사는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코리아(BIX) 2025’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BIX는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고 RX코리아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박람회다. 미국 플로리다주는 줄기세포 치료의 임상적 근거를 쌓기 위해 규제를 대폭 완화했
  • [로터리]문화강국, K소비재로 견인해야
    [로터리]문화강국, K소비재로 견인해야
    기업 2025.10.15 15:56:51
    카자흐스탄에는 ‘Q팝(Qazaq POP)’이 있다. 한국의 K팝 그룹 형성 방식과 스타일을 벤치마킹해 현지에서 탄생한 새 음악 장르라고 한다. 최근 출장으로 알마티를 찾았다가 Q팝 그룹을 봤는데 노래, 패션 스타일 모두 한국과 아주 비슷해 깜짝 놀랐다. 콘서트장에서 한국의 팬들처럼 반짝이는 응원봉을 흔드는 현지 관람객을 보며 ‘진정한 문화강국의 힘이란 이런 것이구나’하고 실감했다. 대한민국은 한류로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전 세계를 휩쓴 ‘케데헌’ 열풍, 국제 무대에서 빛났던 영화 ‘기생충’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 KOTRA, 미국 실리콘밸리서 AI·반도체 인재 확보 나서
    KOTRA, 미국 실리콘밸리서 AI·반도체 인재 확보 나서
    기업 2025.10.15 15:33:23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국의 첨단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인재 확보전에 나섰다. KOTRA는 14일(현지시간) 주샌프란시스코총영사관과 함께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커리어 커넥트 인 AI 웨이브(Career Connect in AI Wave)’ 행사를 열고, 현지 인재들에게 한국 첨단산업의 비전과 취업 기회를 소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H-1B 비자 수수료가 기존 1000달러에서 10만 달러(약 1억4300만원)로 대폭 인상되는 등 외국 인재의 미국 취업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국을 ‘유망한 대안지’로 부각시키려는
  • 두산테스나, ‘1714억 규모’ 반도체 테스트 장비 구매…“애플향 CIS 조준”
    두산테스나, ‘1714억 규모’ 반도체 테스트 장비 구매…“애플향 CIS 조준”
    기업 2025.10.15 15:25:52
    반도체 테스트 기업인 두산테스나(131970)가 15일 이사회를 열고 1714억원 규모의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구매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일본 반도체 테스트 장비 업체인 어드밴테스트와 인터액션, 그리고 한국의 세메스로부터 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2년간 순차적으로 장비를 도입해 반도체 테스트 인프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장비 매입은 최근 삼성전자가 애플로부터 따낸 CMOS 이미지센서(CIS) 수주와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애플은 올해 8월 삼성전자와 미국 텍사스 오스틴 공장에서 차세대 칩을 생산한다
  • 현대차 브랜드 가치 35조 원…글로벌 순위 30위 ?
    현대차 브랜드 가치 35조 원…글로벌 순위 30위 ?
    기업 2025.10.15 15:02:28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5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서 브랜드 가치 246억 달러(35조1000억 원)를 기록하며 종합 순위 30위에 올랐다고 15일 밝혔다. 현대차(005380)는 2005년 처음으로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포함됐고 2010년부터 올해까지 16년 연속 브랜드 가치가 오르는 성과를 냈다. 현대차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 대비 7% 가량 성장하는 등 최근 5년간 72% 상승했다. 이에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글로벌 브랜드 순위 30위권을 유지했다. 인터브랜
  •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6년 연속 '세계 5위'…아시아 기업 중 유일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6년 연속 '세계 5위'…아시아 기업 중 유일
    기업 2025.10.15 14:11:24
    삼성전자(005930)가 글로벌 브랜드가치 평가에서 6년 연속 글로벌 5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15일 글로벌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가 15일 ‘2025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브랜드가치는 905억 달러(약 124조 7400억 원)로 5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020년 이후 지금까지 아시아 기업 중 유일하게 글로벌 5대 브랜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브랜드가치 평가 1위는 애플(4708억 달러)이 차지했고 마이크로소프트(3885억 달러)와 아마존(3199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4위는 구
  • 서울 전역 투기과열·토지허가구역 지정…전세대출에 DSR 첫 적용
    서울 전역 투기과열·토지허가구역 지정…전세대출에 DSR 첫 적용
    기업 2025.10.15 13:22:00
    정부가 최근 서울·수도권 중심으로 과열 조짐을 보이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서울 전역을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고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규제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국세청과 경찰청을 중심으로 이상거래·탈세·가격 띄우기 등 불법행위 단속도 대대적으로 착수한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등은 15일 합동브리핑을 통해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과 경기 과천·성남·분당·광명 등 12개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투기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웨덴에 모듈형 추진장약 추가 공급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웨덴에 모듈형 추진장약 추가 공급
    기업 2025.10.15 13:12: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스웨덴에 155㎜ 모듈형 추진장약(MCS·Modular Charge System)을 추가 공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 육군협회 방산전시회(AUSA)’에서 스웨덴 방위사업청(FMV)과 3년 간의 상호협력에 대한 포괄적 기본협약과 1500억 원 규모의 1차 실행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기본협약과 실행계약을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내년부터 향후 3년간 스웨덴으로 MCS를 공급하게 된다. 한화가 스웨덴으로 MCS를 수출하는 것은 지난해에 이어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