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했다, 잘 보고 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열리는 13일, 서울의 각 고등학교 수험장에서는 입실을 앞두고 포옹하며 응원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행렬이 줄지어 이어졌다. ‘수능 한파’가 없어 예년 가을처럼 얇은 옷 차림을 한 학생들은 도시락통과 핫팩을 꼭 쥐고 비장한 기색으로 교문을 들어섰다.
이날 오전 7시 25분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고에서는 학부모들이 교문 앞에서 학생들의 사진을 찍어주는 훈훈한 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수능특강을 들고 손가락으로 ‘브이’자를 남긴 채 밝게 웃는 학생들을 사진에 담은 학부모들은 이들을 안아주면서 “잘 마치고 돌아와”라는 말을 건넸다. 학부모 최 모(47)씨는 “열심히 한 만큼만 잘 보고 왔으면 좋겠다”면서 “오히려 당일이 되니까 걱정이 안 된다. 잘 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한 학부모는 대신 가방을 메주다 교문 앞에서야 가방을 건네고 수험생의 옷매무새를 매만졌다. 이 학부모는 수험생의 뒷모습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한참을 바라보면서 애타는 마음을 숨기지 못했다. 학부모 박미정(44)씨는 “아이가 오늘 하루 견딜 무게감이 너무 걱정돼서 눈물이 난다”면서 “첫째 딸 수능이어서 더 걱정되기도 한다. 시험 끝나면 아이들과 같이 여행도 가고 싶고 함께 하고 싶은 게 많다”고 말했다.
씩씩한 수험생들의 모습도 이어졌다. 선유고에 다니고 있다는 강하은(19)양은 “그럭저럭 열심히 해서 긴장은 생각보다 안 된다”면서 “아침에 집에서 나오는데 부모님이 응원해주면서 ‘열심히 널 키운 우리도 수고했어’라고 말하셨다. 웃겨서 긴장이 좀 풀렸다”고 밝게 말했다.
이날 서울 강남구 개포고에서도 한 손엔 커피와 종이가방을 든 수험생들이 빠르게 교문으로 들어갔다. 한 남학생의 도시락가방에는 행운을 바라는 듯 네잎클로버 키링이 대롱대롱 매달려 있었다. 한편에서는 학부모가 손수 손목시계를 채워주며 응원을 전하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교사들의 ‘수험표 보여달라’는 말이 쉴 새 없이 울려퍼졌다.
수험생 학부모 50대 남성 A 씨는 “양재가 직장이라 출근하면서 아들을 응원하고 학교에 데려다줬다”면서 “학교까지 왔다갔다 하는 건 사전에 몇 번씩 연습을 해봤다. 교통편이나 도시락 메뉴 등을 똑같이 해서 예행연습을 한 셈이다. 날씨가 따뜻해서 다행이다”라고 했다.
아슬아슬하게 수험장에 도착한 학생들도 있었다. 오전 8시 4분께에는 경찰차를 타고 온 여학생이 여의도여고 교문을 통과하기도 했다. 이 학생은 현장에 있던 최교진 교육부 장관과 하이파이브를 하며 건물로 힘차게 뛰어 들어갔다.
폐문 시간이 다가오자 한국자동차전문정비사업연합회(카포스)에서 활동 중이라는 안명렬(62)씨의 차에서도 수험생이 급하게 내렸다. 안 씨는 “매년 수험생 수송 활동을 하고 있다”면서 “원래 관악 관할인데 급하다 해서 여의도까지 왔다. 늦을까봐 너무 걱정했다”고 땀을 훔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