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앞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정책의 초점을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5일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00일간 소비촉진과 소상공인·중소기업 긴급지원을 위해 노력해 왔다. 앞으로는 이들의 성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장관은 취임 이후 내수 부진 위기 속 상생페이백, 동행세일, 온누리상품권 환급 등 내수촉진 정책 등을 통해 4조1000억 원 이상의 소비진작 효과를 창출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더해 글로벌 관세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대응반 설치와 정보 제공, 1조2000억 원 규모의 융자보증 및 수출바우처 지원했다.
이에 한 장관은 이날 회복을 넘어 산업 전반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우선 한 장관은 벤처 정책과 관련해 “벤처투자 시장 40조 원을 조성하기 위해 유망 창업기업을 매년 6000개사 이상 육성하는 등 ‘모두의 창업’ 시대를 개막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K-스타트업 포털에 경영지원, 세무·법률 상담, 규제·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고도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이달 중 전국에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원스톱 지원센터를 오픈한다.
중소기업 관련 인공지능(AI) 중심 스마트 공장 1만2000개를 기업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급하고, 제조 AI 기술을 공급하는 전문기업 500개사도 육성한다. 또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강화를 위해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소상공인 개별 지원을 넘어 상권 등 단위 중심의 육성 사업도 펼친다. 특히 ‘지역상권 르네상스 2.0’ 추진을 통해 관광·산업·문화를 접목해 관계부처와 유기적으로 사업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조직 혁신도 강조했다. 그는 “어떤 이슈가 생겼을 때 중기부는 후속 조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제일 먼저 앞에 설 수 있는 그런 창구가 돼야 한다”며 “우리가 먼저 문제를 발견하고 정부 부처 내에서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게 중기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또 한 장관이 네이버 재임 시절 만들었던 ‘스테이션 제로’도 도입한다. 스테이션 제로는 신입사원들을 네이버의 여러 프로젝트에 투입해 다양한 발상을 내놓을 수 있도록 만든 조직이다. 한 장관은 “스테이션 제도처럼 부서에 얽매이지 않는 아이디어를 내고, 토론을 통해 혁신적이고 명확한 정책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it8129@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