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가 택배 노동자들을 위해 심야시간(0~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개선안을 내놓은 것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택배노조는 택배기사의 최소한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쿠팡 정규직 배송기사 노동조합 및 여러 소비자단체들은 “현실과 실상황을 외면한 정치선동”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쿠팡 정규직 배송기사로 구성된 쿠팡노동조합은 30일 입장문을 내고 “새벽배송 금지로 인한 고용안전과 임금보전은 누가 책임질 것이냐”며 “국회와 정부는 새벽배송 전면금지라는 정치적 제안에 휘둘리지 말고 택배업의 경쟁력과 소비자, 중소기업, 택배 노동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현실적이고 실질적 대안을 논의해달라”고 촉구했다.
쿠팡노조는 새벽배송은 국민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서비스로 자리 잡은 동시에 쿠팡 물류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또 심야배송을 금지하면 누군가는 일자리를 잃게 되고 택배가 주간 배송으로 몰리면 업무 과중과 교통체증, 승강기 민원 등 대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단체들도 쿠팡노조와 비슷한 취지의 입장을 잇따라 내놨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이날 성명을 통해 “심야배송 전면 금지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채 또 다른 사회적 혼란을 일으킬 것”이라며 “전면 금지 피해는 소비자나 자영업자의 불편에 그치지 않고 물류 종사자와 연관 사업자 등 광범위한 사회 구성원의 일상과 생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소비자와함께는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14일까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택배배송 서비스 인식조사’ 결과 새벽배송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된다면 불편함을 느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4.1%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시대착오적이란 비판이다.
e커머스 업계는 최근 새벽배송과 퀵커머스(즉시배송)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심야배송 제한은 시장 경쟁력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쿠팡은 로켓배송 물류 인프라 구축에 지난 10년간 6조 원 이상을 투입했으며 현재도 3조 원을 추가로 투자 중이다.
앞서 지난 22일 택배노조는 국토교통부 주관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서 야간배송 근절을 위해 심야시간(0~5시)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의 개선안을 내놨다.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업계,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며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른 노동자의 과로 등 건강장애를 예방하고 지속 가능한 배송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규제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간·야간 배송을 오전 5시 출근조와 오후 3시 출근조로 변경해 일자리와 물량 감소가 없도록 하면서 오전 5시 출근조가 긴급한 새벽 배송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게 택배노조의 주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elalala@sedaily.com
                                                                elalala@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