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CEO)가 자회사이자 세계 최대 개발자 플랫폼 깃허브 연례 개발자 회의에 깜짝 등장해 “MS는 태생이 소프트웨어(SW) 공장이자 생산성 회사”라며 “MS는 SW 구축의 ‘본질’을 설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MS에 인수된 깃허브가 인공지능(AI) 코파일럿의 도입으로 코딩 자동화를 선도하는 일은 MS의 ‘DNA’라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읽힌다.
나델라 CEO는 28일(현지 시간)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깃허브 유니버스 2025 기조연설 말미에 ‘깜짝 손님’으로 무대에 올라 “MS는 개발자 도구 개발 기업으로 시작했고 5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개발 도구를 만들고 있다”며 “MS는 언제나 ‘생산성 향상 기업’”이라고 덧붙였다. MS가 1975년 창업 이후 처음으로 내놓은 제품이 베이직 언어 해석기(인터프리터)이고 깃허브와 AI·클라우드 애저로 여전히 개발자 생태계를 장악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깃허브는 글로벌 개발자 1억 8000만 명이 사용하는 코딩 표준 플랫폼으로 2018년 MS에 인수됐다. 이날 깃허브는 코파일럿과 오픈AI 모델 외에 앤스로픽·구글·코그니션·xAI 등 외부 코딩 에이전트를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이전트HQ’를 공개했다. 또 각 에이전트를 통합 관리·지휘할 수 있는 ‘미션 컨트롤’ 등도 선보였다. 업무 협업 툴인 슬랙에 깃허브 AI 에이전트를 통합하기도 했다.
MS와 협력사 오픈AI 모델·서비스 외에 경쟁사 제품도 사용자가 원한다면 지원을 꺼리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나델라 CEO는 이를 ‘플랫폼적 마음가짐’으로 규정했다. 그는 “플랫폼 회사라는 단어가 남용되고 있으나 MS는 사람들이 플랫폼 위에서 SW를 구축하도록 돕고 이를 일류 수준으로 달성하는 진정한 플랫폼 기업”이라며 “플랫폼은 스스로 가치를 포착하는 것이 아닌 주변 파트너와의 협력으로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한다”고 강조했다.
AI 코딩에 대한 일부 비판에 대해서는 “AI 코드 생성은 컴파일러(코딩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프로그램) 다음 수순”이라며 “AI 코딩이 게으름을 낳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더 훌륭한 코드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herenow@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