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035720) 그룹의 준법·신뢰 경영을 지원하는 독립 기구인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 위원들이 임기를 연장한다.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041510)) 시세 조종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던 김범수 창업자(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가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카카오는 이와 상관없이 준법 경영과 신뢰 회복 기조를 더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소위 ‘문어발식 확장’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계열사 수도 지속해서 줄이고 있다. 소상공인과 상생·인공지능(AI) 인재육성 등 책임 경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사법리스크를 털고 나오는 과정에서 환골탈태하겠다는 각오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당초 올해 11월로 예정됐던 준신위 위원들의 임기를 연장하기로 했이다. 김소영 준신위 위원장은 “법원이 합리적인 판단을 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카카오의 준법과 신뢰 경영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준신위는 2023년 12월 카카오 그룹의 준법 신뢰경영 체계를 확립하고 사회적 책임 실천하기 위해 출범했다. 카카오를 둘러싼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2021년 카카오페이(377300) 임원 8명이 회사 상장 한 달여 만에 스톡옵션을 통해 취득한 주식을 대량 매도하면서 ‘먹튀 논란’이 확산됐고 골목 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2023년 하이브(352820)와 SM엔터 인수를 둘러싸고 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시세 조정 혐의를 받으며 사법 리스크는 고조됐다.
김 센터장은 이러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체질개선을 위해 준신위에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를 약속했다. 준신위는 카카오와 카카오게임즈(293490),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323410),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페이 등의 준법의무 위반 리스크를 직접 조사하고 있다. 기업 인수합병(M&A)과 분할, 기업공개(IPO)와 같은 주요 경영 활동을 사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한다. 이달까지 회의를 32차례 열고 협약 계열사 관련 안건을 검토했다. 경영진을 비롯해 노동조합, 임직원들을 만나 쇄신을 논의했다. 준신위는 지난해 2월 사회적 신뢰회복 등 3대 의제를 권고했고 카카오는 올해 1월 권고에 따른 개선안을 이행 완료했다. 준신위는 지난해 11월 카카오 그룹이 투자 책임감을 높이고 감사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 제반 사항을 명문화한 준칙을 마련했다.
카카오는 준법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계열사도 지속적으로 줄이고 있다. 골목 상권 침해 등 논란을 해소하고 경영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다. 카카오 국내 계열사는 이달 13일 기준 99개다. 2023년 5월 SM 편입으로 계열사가 147개에 달했는데 2년 반만에 48개가 감소한 것이다. 와이어트(카카오헤어샵), 에이윈즈(캐릭터 완구 및 유아동용품 판매) 등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있던 회사들이 정리됐다. 김 센터장의 개인회사인 케이큐브임팩트와 김 센터장의 동생이 운영하던 오닉스케이와 뉴런잉글리시도 문을 닫았다. 카카오는 연말까지 80여 개로 축소할 계획이다.
아울러 카카오는 책임경영도 강화한다. AI 인재를 적극 양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지난달 카이스트와 광주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등 4개 과학기술원과 함께 산학협력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거점을 양성하기로 결정했다. 내년부터 향후 5년간 5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한다.
소상공인 상생도 한 단계 더 끌어올린다. ‘소상공인 통합지원 태스크포스’를 신설해 단계별 맞춤 지원을 제공한다. 상인들의 디지털 역량 향상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단골’을 통해 올해 8월까지 256개 전통시장·지역 상권을 지원했다. 소상공인 생태계 육성을 위해서도 2021년부터 5년간 상생기금 3000억 원을 조성한 바 있다. 박혜선 카카오 동반성장 리더는 “지역 상권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상생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im@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