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 결제 범죄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법 기지국 아이디 개수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에 따르면 기존 4개로 알려졌던 KT의 불법 기지국 ID는 20개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불법 기지국 접속 인원 수도 2만30명에서 2000여 명 늘어난 2만2000여 명이 되었다. 또한 무단 소액결제를 당한 피해자 수도 추가 발견됐다. 불법 기지국에 접속한 피해자의 휴대전화 번호, IMSI, IMEI 등 민감한 정보가 이미 유출된 만큼 새로 확인된 2000여 명의 개인정보 역시 유출됐을 것으로 보인다.
KT는 현재까지 피해자 수를 362명으로 집계했지만 황 의원은 KT가 발표한 인원 외에도 경찰이 파악한 피해자가 더 있기 때문에 실제 피해 규모가 더 클 것이란 의혹을 제기했다. 황 의원은 “추가 피해가 없다는 식으로 상황을 모면하려던 KT의 거짓말이 결국 드러났다”면서 “KT의 반복적이고 악의적인 축소, 은폐 행태에 대해 징벌적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경찰은 KT에 대한 내사에 착수했다.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15일 경찰청으로부터 사건을 배당받아 내사에 들어갔다. 이번 내사는 KT가 무단결제 및 해킹 사건의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고 주장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수사 의뢰로 이뤄졌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3일 세종시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업무 보고에서 "KT가 서버 폐기 시점을 허위 제출했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