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이 15일 공식 출범했다.
통합대응단은 서울 KT(030200)광화문빌딩에 자리잡아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경찰청·금융위원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감독원·금융보안원 등 전문 인력도 포함됐다. 이재명 대통령 지시에 따라 상담 위주로 편성됐던 기존 경찰청 통합신고센터의 한계를 보완해 종합 대응 체계를 마련한 조치다.
조직은 크게 세 갈래로 구성된다.
신고대응센터는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된다. 신고와 제보를 바탕으로 △계좌 지급정지 △소액결제 차단 △삭제 등 피해 예방을 위한 실무 조치를 맡는다. 분석수사팀은 신고·제보 데이터에 기반해 전화번호 이용을 중지시켜 추가 피해를 막는다. 전국 시도경찰청 전담수사대나 관계 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검거와 범죄수단 차단 조치도 함께 내린다. 정책협력팀은 각 기관 파견자들과 함께 협업체계를 구축해 법령·제도 개선과 외국 공조 등을 추진한다.
경찰청 측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보이스피싱 관련 조직들의 한국인 감금 정황이 포착되고 있는 만큼 보이스피싱·투자리딩방 등 신종사기 범죄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했다.
개소식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등 정부 인사뿐만 아니라 통신·금융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윤 장관은 “통합대응단 출범이 보이스피싱 대응의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윤 실장도 “통합대응단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각 부처 대책이 실질적 성과로 이뤄지도록 끝까지 꼼꼼히 챙기겠다”고 말했다. 유 직무대행은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범죄가 아닌 국가적 위협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실질 피해를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체결된 ‘전기통신금융사기 근절 협업 강화 업무협약’에는 통합대응단에 속한 정부 기관을 비롯해 삼성전자(005930)·KT·SK텔레콤(017670)·LG유플러스(032640)·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 등 총 15곳이 참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rassg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