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기업 10곳 중 6곳은 하반기 수출 실적이 축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일 발표한 ‘2025년 하반기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의 61.5%가 전년 동기 대비 올해 하반기 수출 감소를 전망했다. 이는 상반기 조사보다 22.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7월 29일부터 8월 12일까지 주요 수출 업종 중견기업 200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하반기 수출 실적 악화를 전망한 중견기업들은 ‘글로벌 경기 둔화(67.5%)’, ‘관세 부담 증가(53.7%)’ 등을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수출 실적 악화에 대비한 방안으로는 ‘수출국 다변화(55.3%)’, ‘품질 향상 및 가격 조정(35.8%)’, ‘내수 비중 확대(35.0%)’, ‘신제품 출시(20.3%)’ 등 순이었다.
중견기업의 향후 수출 전략 수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국제 이슈로는 ‘미국 통상 정책 및 법률·제도 변화(49.5%)’가 가장 많았다. ‘중국 시장 변동성(19.0%)’, ‘미·중 경쟁 심화 및 공급망 재편(10.5%)’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인들은 통상 환경 개선을 위해 ‘다자간 통상 체계 복원 및 보호 무역주의 대응 강화(46.5%)’, ‘내수 중견기업 수출기업 전환 지원 및 전문 무역 상사 연계(15.5%)’, ‘기술·부가가치 중심 무역 구조 전환 및 서비스·소비재 수출 확대(10.5%)’ 등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정책 과제로는 ‘무역·수출 금융 지원 확대(47.0%)’, ‘주요 원자재·부품 수입 관세 인하 및 수급 안정 지원(24.5%)’, ‘물류 관련 비용 및 인프라 지원(14.0%)’ 등이 뽑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한미 상호관세 협상 타결과 정상회담을 통해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됐지만 엄연한 관세 부담 증가와 세계 경기 둔화, 공급망 재편 등 수출 전망을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기업의 자구 노력에 더해 무역금융 확대, 원자재 관세 인하, 물류 인프라 지원 등 정부 지원을 전향적으로 강화해 민관의 협력 체계를 강고히 구축함으로써 변화하는 무역·통상 환경에 대한 산업 전반의 대응 역량을 증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