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 조성’에 필요한 전력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구축한다. 내연차를 전기차로 교체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최대 100만 원의 전환지원금도 신설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년도 예산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전날 기자 브리핑에서 “에너지 대전환과 국민 생활에서의 탄소 중립을 가속화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융자·보조 규모를 5000억 원에서 9000억 원 수준까지 대폭 확대하고 RE100 산단 조성, 인공지능(AI) 분산형 전력망 구축에 약 3000억 원을 새롭게 투자한다”고 말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새 정부의 최우선 추진 국정과제 중 하나인 RE100 산단 조성을 위한 사전 정비 작업에 나서겠다는 부분이다. 정부는 연내 RE100 산단 특별법 제정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법 통과 전임에도 내년 예산안에 250억 원 규모의 인프라 구축 비용까지 선제 반영했다.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겪고 있는 전기차 등 무공해차 보급에도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기존 300만 원의 전기차 구매보조금에 신설되는 100만 원의 전기차 전환지원금까지 더하면 400만 원의 할인 효과가 기대된다. 별도로 무공해차 인프라펀드(740억 원)와 구매융자(737억 원), 안심보험(20억 원) 등 1500억 원의 금융지원 3종 패키지도 마련했다.
정부는 702억 원 규모의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으로 ‘차세대 전력망 산업’도 육성할 계획이다. 마이크로그리드란 대학 캠퍼스 등 특정 지역에서 전기를 생산·저장·분배하는 독립적인 소규모 전력망을 일컫는다. 전남 등 전력 수급 불일치가 있는 지역에는 계통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비용 등 1000억 원 규모의 AI 분산형 전력망 구축도 병행한다.
국내 해상풍력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800억 원의 저리 융자와 1000억 원의 보증도 적기에 공급한다. 아울러 정부는 총사업비 3000억 원 규모의 소형모듈원전(SMR) 제조기술 확보 등 원전 산업에 총 9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